earticle

논문검색

학교자율화 수준에 대한 교원의 인식 분석

원문정보

An Analysis of the Teacher's Perception on School Autonomy Level

김병주, 정일환, 서지영, 정현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level of school autonomy and draw some suggestions for the settlement ways of school autonomy for actualizing school-based management. For this, the study analyzed the level of school autonomy on two items(the level of following of guideline and habitual practice of each job task, the level of members' decision-making participation)in four domains(school affairs and management, curriculum, personnel management/ in-service training/school inspection, administration/finance and community) using a sample of primary and secondary teachers of Gyeonbuk areas. The results of each domain represented that the domain of school affairs and management and curriculum that are core domain of school management had high school autonomy level compared to other domains. And they showed that the school autonomy level of personnel management domain for human resource application which is an important resource in school management was low. In particular, they showed that items that teachers perceived low level of school autonomy highly corresponded priority items in three-step school autonomy process way. This means that the tasks of three-step school autonomy policy succeed in selecting some necessary conditions for school autonomy in each school. The success of school autonomy policy, however, needs political ways of connecting with minor factors such as school's organizational culture and decision-making in school rather than simple system change such as guideline abolition and power transfer. Therefore, the study suggests that school autonomy policy should construct school autonomy model suitable to each school considering regional condition(urban, rural/mountain/fishery village) and school characteristics(school level, general, vocational, size) through multiple approaches such as governance, SBM, teacher empowerment, and TQM in new era.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단위학교의 학교자율화 수준을 분석하고, 단위학교 책임경영 실현을 위한 학교자율화 정착방안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북 지역 초·중등교원을 대상으로 4개 영역(학사 및 학교경영, 교육과정, 인사·연수 및 장학, 행·재정 및 지역사회)에 대해 “각 업무의 지침 및 관행 답습정도”와 “구성원의 의사결정 참여정도”라는 2가지 항목으로 구분하여 학교자율화 수준을 분석하였다. 각 영역별 분석 결과를 종합해 보면, 학교 운영의 핵심 영역이라 할 수 있는 학사 및 학교경영과 교육과정 영역은 다른 영역에 비해 학교자율화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고, 학교 운영을 위한 중요 자원인 인적자원 활용을 위한 인사 영역의 학교자율화 수준은 상대적으로 매우 낮다. 특히 본 연구에서 교원들이 학교자율화가 낮은 수준이라고 인식한 항목들과 3단계 학교자율화 추진방안에서 제시한 중점과제들은 상당한 정도로 일치하고 있다. 이는 3단계 학교자율화 정책의 추진과제들은 단위학교에서 학교자율화를 위해 필요한 조건들을 선정하는 데는 일단 성공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학교자율화 정책의 성공은 지침 폐지, 권한 이양 등의 단순 제도의 변화보다는 학교의 조직문화, 학교안의 의사결정 등 미시적 요인들과 연계할 수 있는 정책 방안이 필요하다고 보여진다. 이에 학교자율화 정책의 추진과 함께 사회 환경 변화에 따른 새로운 시대에는 거버넌스, SBM, 교사 권한부여(empowerment), TQM 등 다차원적 접근을 통해 지역적 여건(도시, 농산어촌)과 학교특성(학교급별, 일반계, 전문계고, 규모별 등)을 고려하여 개별학교에 적합한 학교자율화 모형을 구축하려는 노력도 함께 시도되어야 할 것이다.

목차

요약
 I. 서론
 II. 학교자율화 추진 현황
  1. 기본 방향 및 취지
  2. 주요 내용
  3. 추진 전략 및 절차
  4. 학교규제지침 일괄정비
 III. 연구 방법
  1. 표집 대상
  2. 조사 도구
 IV. 분석 결과
  1. 1차 분석 결과
  2. 2차 조사 결과
 V.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병주 Kim, Byoung Joo. 영남대학교
  • 정일환 Chung, Il Hwan. 대구가톨릭대학교
  • 서지영 Seo, Ji-young. 대구경북연구원
  • 정현숙 Jung, Hyun-sock. 대구가톨릭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