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자유논문

남편의 외도와 여성의 관계성

원문정보

Relationality of Women: A Pastoral Theological Understanding of Wives’Loyalty to the Family Regardless of Husbands’Infidelity

하재성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Why do many women in Korea with a problem of husbands’infidelity insist to stay with them regardless of the painful experience of brokenness in relationship? Pastoral theologians allegedly claim that relationality illumines women’s distinctive tendency toward mutual dependency as part of their development and maturation. On the one hand, relationality makes women provide care for family. It overburdens them by essentializing their motherly care on the other. Husbands
who are unfaithful to their wives tend to abuse power over women in order to keep them loyal to the family regardless of their infidelity. Women’s relationality can be manipulated when faithless husbands depend on the cultural bias against women whose presence in the family they regard as essential. Pastoral theologians have closely paid attention to women’s sufferings by nalyzing power dynamics at the socio-cultural level. By rejecting patriarchal approval of men’s infidelity, they try to encourage women to recover the language of the self. For this purspose, pastoral counselors for women must primarily understand women’s life in their relational environments. Pastoral theology distinguishes itself from typical tips for a simple solution. The pastoral counselor must empathize the betrayed wives by helping them break the silence and crack down the unconscious homeostatic belief that women are always responsible for their
husbands’ infidelity.

한국어

성의 개방과 더불어 배우자의 외도로 고통을 겪는 배우자들이 많은 가운데 다수의 여성들은 외도를 저지른 남편의 비행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자신은 가정과 부부관계를 지키려는 선택을 감행한다. 그렇다면 왜 여성들은 왜 이런 힘든 고통을 참으면서까지 일관되게 부부 관계를 유지하기 위한 선택을 하는가? 그것은 자신의 삶에 주어진 남편과의 관계에 의존하고 지키며, 자신과의 관계에 속한 남편을 오
히려 돌보려 하는 여성의 관계성(relationality)에 기인한다고 말할 수 있다. 여성의 관계성은 여성들로 하여금 자신이 속한 관계를 지키고 유지하게 하는 기능을 하고, 거기에서 이탈하는 다른 선택을 꺼리게 한다. 따라서 여성의 관계성이란 여성들로 하여금 가족을 돌보며 가족 존재의 필연적 기초를 제공한다. 하지만 동시에 이 관계성 속에 갇힌 여성들은 남편의 외도와 같은 극한 상황에서도 외려 그 관계를 충실하게 지키려는 관계성 때문에 스스로 큰 고통을 지게 되는 원인이기도 하다. 그리고 여성의 관계성보다 더욱 심각한 것은 외도하는 남편이라 할지라도 무조건 참고 섬기도록 요구하는 전통적 성 역할(gender-role)이다. 아무런 의문도 없이 주어진 사회문화적 요구가 모든 상황에서 아내에게 책임을 지우고 맹목적인 인내를 요구하기 때문이다. 성경적이고 신학적인 자원을 가진 상담자는 남편의 외도로 희생자의 상처와 도덕적인 우월성을 동시에 가진 여성들로 하여금, 빠른 화해나 값싼 용서의 요령이 아니라, 자신의 영적 자율성 안에서 자기의 언어(thelanguage of the self)를 회복하도록 도와야 할 것이다.

목차

국문초록
 I. 여는 글
 II. 펴는 글
  1. 아내의 이중적 의무
  2. 여성의 관계성 (relationality)
  3. 여성의 의존성(dependency)
  4. 여성의 관계적 환경과 관계성
 III. 닫는 글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하재성 Jaesung Ha. 고려신학대학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