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The De-Centering Revealed in the Images of Simulacre - Focusing on the Media Art -
초록
영어
We are living in the virtual world today which is characterized by the screen, interface, repeated replication, substitution, and network. As Baudrillard said, we are living in a simulacre society overflowing with the virtuality and replication which are more like the original than the original. In this replicated world, we experience and produce hyper reality which is more real than real as the virtual entity rules and substitutes the reality which revers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production and reality. Though the shapes and images of simulacre formed by the replication without self-identification cause the de-centering, difference, and mixture to the harmonious order, they are also perceived as the concept with new and independent value different from the original.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and promote the understanding about the simulacre image from new and multifaceted perspectives by considering the concept and meaning of simulacre through more varied methodologies of thinking and pondering upon various patterns of expressions in the simulacre image within the frame of de-centering reasoning system. Art works of Camille Utterback and Gary Hill, the media artists, were analyzed in this study to examine the de-centering expression of simulacre image by focusing on the media art works of contemporary art.
한국어
오늘날 우리는 스크린, 인터페이스와 반복복제, 대체와 네트워크화라는 가상세계 속에 살고 있다. 보드리야르가 이야기한 것처럼 ‘원본보다 더 원본같은’ 가상과 복제가 넘쳐나는 시뮬라크르 사회에서 살고 있다. 이렇듯 복제된 세계에서 우리는 가상실재가 실재를 지배하고 대체하여 재현과 실재의 관계가 역전됨으로써 실재보다 더 실재 같은 하이퍼리얼리티 세계를 경험하고 생산해낸다. 자기동일성이 없는 복제를 통한 시뮬라크르된 형상과 이미지는 조화로운 질서에 언제나 탈중심화, 차이, 혼성을 야기시키기도 하나 원본과는 다른 새롭고 독자적 가치를 지니는 개념으로 인식되는 측면도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보다 다양한 사유방법을 통해 시뮬라크르의 개념과 의의를 살펴보고자 하며, 시뮬라크르 이미지에 나타난 여러 표현양상들을 탈중심의 사유체계 속에서 고찰하여 봄으로써 시뮬라크르 이미지를 다원적인 새로운 관점에서 파악하고 이해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분석을 위한 사례로는 미디어아트 작가 카미유우터백과 게리 힐의 작품을 들어보았다. 그들의 작품에 드러난 시뮬라크르된 이미지는 기존의 중심적 사고의 틀을 깨고 혼성과 차이를 일으켜 탈중심화의 특징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새로운 개념으로 복귀하여 독자적인 가치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목차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배경
1-2. 연구와 범위 및 방법
2. 시각예술에 있어 시뮬라크르1)의 의미
2-1. 기술복제 시대의 예술 : 아우라의 상실
2-2. 복제의 복권 : 시뮬라크르
2-3. 원본보다 더 원본다운 것 : 시뮬라시옹
3. 미디어아트에 있어 탈중심화에 대한 담론
3-1. 탈중심화 개념형성의 배경
3-2. 절대주체의 소멸과 타자성
3-3. 탈중심화된 시공간
3-4. 신체의 파편화와 탈기관화
4. 미디어아트의 탈중심화 사례분석
4-1. 카미유 우터백(Camille Utterback)
4-2. 게리 힐(Gary Hill)
5.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