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상생윤리의 교육 범례

원문정보

A Study on the Mutual-Living’s Educational Paradigms

김용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paper, we focus on three educational paradigms in the context of mutual living ethics in Korea. First of all, Jeung-San(1871-1909) define resentment and regret as social and personal insufficiency and Won(寃) as group's revenge emotions. Jeung-San believed that the root of these dissatisfactions of Won(寃) can be solved mutual living's mind in educational paradigm according to Three World's Heaven Earth Public Affairs. Jeong-San(1900-1962), the second Master of Won-Buddhism established the ideal civilized society that is formed on the basis of Triple Identity ethics. The global village causes more problems than any other period and jeopardizes human survival. Among many problems such as ecocide, religious violence, aggressive warfare and terrorism, nuclear weapons and destruction of humanity, educational paradigm of public mutual living can solve these various antagonism. This paper is oriented to find out educational paradigm in the mutual living's ethics and practice among Jeung-San Master and Jeong San Master's Triple Identity ethics with You Yuong-Mo(1890-1981)'s Public Redemption. Firstly, mutual living's mind in educational paradigm includes the educational meaning of media function with other resentment and regret tradition as the public common value. The principle of public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among revenge emotions can be easily found in mutual living ethical thoughts. Secondly, the human life can be found diverse complexity as private with other lives in Triple Identity ethics. To create a harmonious education to keep human being esteem, and public communication as human dignity must be the solutions to various antagonism and many conflicts of the world. Thirdly, Public Redemption can create the new educational environment of peace and mutual- living mode beyond ideological conflicts and different belief systems. To establish the world of mutual living, the mutual harmonious educational paradigms are very important. In conclusion, mutual living is trans-versal values that require global responsibility for prosperity and happiness and community of rights and global citizenship. Mutual Harmony and Public mutual living with Pubic Redemption can serve common goodness as ethical education.

한국어

21세기의 세계시민성 시대는 선천의 홍익교육 이념에서 한 단계 나아가 상생윤리의 교육으로 들어가면서 자기도 이롭고 상대방도 이로운 상화(相和)의 교육 범례가 요구된다. 이는 곧 자기와 타자 사이의 ‘플러스 섬(plus-sum)’현상을 지향하는 교육 범례이다. 공생(共生)이 ‘나와 남’이 같이 사는 일시적이며 상극적 평화범례라고 한다면, 상생은 ‘너와 내’가 공공으로 함께 생명을 살리는 상통(相通)의 범례이다. 근대조선에는 개벽사상이 나타나서 기존의 음양(陰陽) 이분법 사유방식을 해체하고 상극을 상화(相和)하는 횡단매개 교육 범례가 나타났다. 상극의 대립구조를 매개하는 상화(相和) 매개의 중매(中媒)교육이 강조되었다. 이는 한국인의 삼원사유에 근거하여『천부경(天符經)』의 하늘․지구․인간의 삼원요소를 매개하는 삼재사상과 연관된 교육 범례이다. 이 글에서는 상생윤리의 구조를 밝히고 이에 따른 교육 범례를 비교론적 관점에서 모색하고자 한다. 비교론적 관점에서 우리는 상생윤리의 교육 범례를 뚜렷하게 부각하고 있는 20세기 초반의 강증산(姜甑山)의 해원상생의 교육 범례, 20세기 중반의 송정산(宋鼎山)의 공공상생의 범례, 20세기 후반의 유영모(柳永模)의 공공구속을 차례대로 비교하여 고찰하면서 21세기 한국의 상생윤리의 실천화용을 규명하고자 한다. 이들은 상극 대립 사이에 횡단매개하는 생명살림 교육 범례를 전제로 상극에서 상생으로 이어지는 과정을 중시하였다고 할 수 있다. 이들은 각각 해원(解寃), 삼동(三同), 공속(共贖)을 중매(中媒)로 삼아 상화(相和)의 계기를 마련하는 것에 윤리교육의 역점을 찾고 상황의 실천화용을 공통적으로 강조했다고 할 것이다. 이러한 세 가지 맥락을 상호 비교함으로써 조선근세 이후의 상생윤리의 교육 범례를 고찰하여 21세기 상생윤리의 새로운 좌표설정을 마련하고자 한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해원상생(解寃相生)의 교육 범례
  1. 원한상극(怨恨相剋)
  2. 해원상화(解寃相和)
  3. 도통교육(道通敎育)
 Ⅲ. 삼동상생(三同相生)의 교육 범례
  1. 차별상극
  2. 삼동상화(三同相和)
  3. 보은교육
 Ⅳ. 공공구속(公共救贖)의 교육 범례
  1. 원죄상극
  2. 공속상화(共贖相和)
  3. 공공교육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용환 Kim, Yong Hwan. 충북대학교 사범대학 윤리교육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