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彗星歌> 固有語 再構 4題와 文學的 示唆

원문정보

Investigation of the Ancient Korean Vernacular Words in <Hyesŏngga(彗星歌)>

<혜성가> 고유어 재구 4제와 문학적 시사

박재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interpreted some parts of , one of the hyanggas(鄕歌) in ≪Samgukyusa(三國遺事)≫, and investigated the corresponding ancient Korean vernacular words. The newly interpreted parts in this paper are as follows:
1. ‘dong(東)’: This word has been generally understood as a vernacular word, 'sae', since Yang Judong argued. However it was a misunderstanding caused by wrong inference. Yang Judong's theory was based on the fact that 'dongpung(東風)' was called 'saebaram(샛바람)'. From this fact, he drew the conclusion that 'dong(東)' was called 'sae' in ancient times.
However this argument is wrong because 'sae(새)' in 'saebaram(샛바람)' meant a bird and had no literal relation with 'dong(東)', which means east.
The reason why 'dong(東)' in 'dongpung(東風)' corresponded 'sae(새) in 'saebaram(샛바람)' was because of a particular conception based on 《Juyoek(周易)》, one of the confucian cannons, which symbolically relates each direction to a specific animal.
2. 'akŭm(岳音)': This word has been interpreted as 'olŭm'. Since Ogura Sinbei proposed this interpretation, most scholars accepted it. It was based on a Jeju dialect 'olŭm(오름)', which means a mountain(岳). However, this paper argued that 'olŭm' was originated in a Mongolian word, so it cannot be the proper interpretation of 'akŭm(岳音)', which was recorded earlier
than the Mongolian invasion. Instead this paper proposed that 'akŭm(岳音)' can be read as 'dyŏm(뎜)', considering the existence of a Korean Chinese word, ‘岾’, which means a ridge or a mountain.
3. 'sŏngly(星利)': Yang Judong interpreted it as 'bŏl(별)', but his interpretation was not accepted by other scholars. They thought 'ly(利)' could not correspond with 'l(ㄹ)’. However, This paper inferred that Yang Judong's interpretation was correct from the fact that '알(閼)' and '아리(我利)’ meant the same and so did '설(屑)' and '서리(肖利)' in 《Samgukyusa(三國遺事)》.
4. 'sosaŭn(燒邪隱)': This word has been interpreted as 'salyan(얀)' or 'taeyan(얀)'. 'Saŭn(邪隱)' in 'sosaŭn(燒邪隱)' has the same function as ‘-hoŭn(-乎隱)' or '-oŭn(-烏隱)’, but it has a different pronunciation from them. Scholars proved that 'saun(邪隱)' should be read as ‘-yan(-얀)’ because it generally follows the syllable 'yi(l)'. This paper agreed with this theory and proposed another interpretation of 'sosaŭn(燒邪隱)' based on more concrete evidences in archives. Considering some examples of old Korean expressions such as ‘Ponghwalŭl(烽火를) pwiuda(퓌우다)’, which means lighting a signal-fire, this paper ascertained that 'Sosaun(燒邪隱)' should be interpreted as 'pwiyan(퓌얀)'.

한국어

본고는 삼국유사에 수록되어 전하는 향가 중 하나인 혜성가 에 나타난 몇 어휘를 뽑아 그 고유어를 재구하고 문학적 의의를 논한 결과물이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東: 그간 이 字의 고유어는 ‘’로 알려져 있었다. 양주동의 폭넓은 자료수집에 의한 결과였다. 하지만 그의 자료를 검토해보면 오해에 의해 내려진 결론임을 알게 된다. 가장 중심이 되는 근거인 ‘東風= 샛바람’은 사실 ‘東’쪽이 周易에서 ‘乙’에 해당하기에 생겨난 대응이기 때문이다.
2. 岳音: 그간 이 어휘는 ‘오름’으로 읽혀왔다. 제주도 방언에서 보이는 ‘岳=오름’의 상관관계를 따라 내린 소창진평의 결론을 후대 학자들이 수용한 결과였다. 그러나 ‘오름’은 몽고어 ‘УУЛ[올]’의 變音일 가능성이 높기에 신라의 고유어와는 관련성이 없다. 본고에서는 ‘岳音’을 ‘뎜’으로 읽었는데, 이는 우리나라에서만 쓰이는 漢字인 ‘岾’이 ‘岳․嶺’ 등의 한자와 대응되는 바, ‘岳音’은 ‘岳’의 고유어인 ‘뎜’을 표현한 字로 추정되기 때문이다.
3. 星利: 이 字를 ‘별’로 읽은 양주동의 독법은 올바른 것이었다. 후대의 학자들이 320 고전과해석․집 이를 수용하지 않은 것은 ‘利’를 ‘ㄹ’로 받아들이기 어려웠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삼국유사에 나타난 ‘閼= 我利’, ‘屑=肖利’의 대응을 볼 때, ‘利’는 ‘ㄹ’음을 위해 쓰일 수 있는 字가 된다. 본고는 이 대응을 들어 양주동의 가설을 확인하였다.
4. 燒邪隱: 그간 이 어휘는 ‘얀․얀’ 등으로 읽혀 왔다. 이를 ‘-얀’으로 읽은 것은 후행하는 ‘邪隱’이 여타의 동일기능형인 ‘-乎隱․-烏隱’과는 달리 ‘이’로 끝나는 선행형에 붙는 어말어미로 추정되기 때문이다. 이 가설은 정당한 것으로 판단되는데, 그렇다면 이 구절은 ‘퓌얀’으로 읽어야 할 구절이 된다. ‘烽火를 퓌우다’란 용례를 들어 뒷받침하였다.
이상의 논의는 사실상 해독의 보론적 성격을 띤다. 새로운 의미를 발견한 것이 아니라, 그간 추정되었던 현대적 의미를 확인하면서 다만 독법의 차이를 제기한 것에 머물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논의가 주는 향가 연구사적 의미는 적지 않다.
잘못된 고유어 音價추정에서 파생된 여러 문학적 해석들을 교정할 수 있는 기반이 되며, 고유어의 정확한 音節추정으로, 현재 가설 수준에서 머무르고 있는 ‘향가의 시형, 율격’을 보다 구체적으로 논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 예를 글의 후반부에 실었다.

목차

[국문초록]
 1. 解讀現況
 2. 固有語再構의 必要性
 3. 固有語再構의 實際와 意義
  3.1. 東尸
  3.2. 岳音
  3.3. 星利
  3.4. 燒邪隱
 4. 固有語再構의 意義와 文學的硏究의 展望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박재민 Park, Jae-min. 서울시립대학교 강의전담 객원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