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정보통신기술과 정치의 관계에 대한 기술철학적 접근

원문정보

Approach to the Philosophy of Technology on ICT and the Politics

최고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reviews major theories of the philosophy of technology and their limits regarding the relations betwee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and politics. 'Philosophy of technology' is a study which philosophically studies various questions on the essence of technology and its influence. It can be divided into the instrumentalism, the technological determinism, and the social constructivism. First, instrumentalism believes that technological influence depends on how human uses technology. According to this theory,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only serves as a way for human goals while human can control it appropriately. The view point of instrumentalism, however, is unable to give an effect, clear explanation on the influenc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even though the technology actually prevails in the real political and social areas. It also appears to overlook serious consideration over the political clout of the technology. The technological determinism has a view point that technological development is the main cause to bring about social changes, being categorized into an optimistic view and a pessimistic view. Ignoring the risk tha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contains, optimistic technological determinists only emphasize technological possibilities. In contrast, saying technologies can autonomously develop with no regard to human goals, pessimistic technological determinists say that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just reproduces unequal power relations. The view arouses people's attention to the risk in modern technology but fails to suggest detailed alternatives or prospects over political development. It is also incapable of giving an outline of the new political phenomena appearing in cyber space. Nevertheless, the 'politics of technology,' which Langdon Winner argued based on the soft determinism, is strongly considerable for the democratic and participant developments and social arranges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Finally, the social constructivism argues that technology is a sort of social product resulted from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conditions and creates extensive social values and interests.Saying that both technology and society is multaneously changed and consisted, Bruno Latour gives a more radical view on technology and human. His Actor-Network theory symmetrically regards non-human things including technology as actors like humans. According to this theory, technology and human are bound together, and more strong networks acquire more power. Accordingly,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opens the possibilities of various political changes. The directions of changes rely on the interactive process between technology and human.

한국어

현대사회에서 기술의 발전과 그 영향력의 확대는 기술의 사용과 영향에 대한 보다 본질적인 탐구를 요구하게 되었다. 특히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이 직접 또는 참여민주주의의 실현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기대 속에서 정보통신기술의 정치적 영향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러한 정보통신기술과 치의 관계에 대한 문제는 기술의 본질과 기술이 인간, 사회, 자연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는 기술철학의 문제로 연결된다. 기술철학은 크게 도구론, 기술결정론, 사회구성론으로 구분될 수 있다. 먼저 도구론은 기술의 영향은 인간이 그것을 어떻게 이용하느냐에 달려있다는 입장을 견지한다. 이에 따르면 정보통신기술은 단지 인간의 목적에 대한 수단으로 작용하며, 인간은 그 기술을 적절히 통제할 수 있다. 그러나 도구론적 관점은 현실적으로 정치ㆍ사회적 영역에서 강하게 드러나는 정보통신기술의 영향력을 적실성 있게 설명할 수 없으며, 정보통신기술의 정치적 영향력에 대한 진지한 성찰을 간과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기술결정론은 기술의 발전이 사회 변화를 가져오는 가장 주된 요인이라는 관점을 가지며, 이는 낙관적 입장과 비관적 입장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낙관적 기술결정론자들은 정보통신기술의 위험성에 대해서는 거의 무관심하며, 단지 기술적 가능성만을 강조하고 있다. 반면 비관적 기술결정론자들은 기술이 그 자체로 자율성을 가지고 인간의 목적과 관계없이 발전해 나가며,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은 불평등한 권력관계를 재생산한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관점은 현대기술의 위험성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워주고 있으나, 정치적 발전에 대한 구체적 대안이나 전망을 제시해주지 못하고 있다. 또한 정보통신
기술의 민주주의적 가능성에 대한 전면적인 부인은 최근 사이버 공간에서 나타나는 새로운 정치적 현상을 설명해주지 못한다. 다만 위너가 약한 결정론의 입장에서 주장한 ‘기술의 정치’는 정보통신기술의 민주적이고 참여적인 개발 및 사회적 배치를 위해 강조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마지막으로 사회구성론은 기술이란 정치ㆍ사회ㆍ문화적 조건에 의한 사회적 산물이며, 기술은 광범위한 사회적 가치와 이해관계를 구현한다고 본다. 특히 라투르는 기술과 사회는 동시에 변화하고 구성된다고 하면서, 기술과 인간에 대한 더욱 급진적인 시각을 제공한다. 그의 행위자-연결망 이론은 기술을 포함한 비인간을 행위자로서 인간과 대칭적으로 볼 것을 주장한다. 그에 의하면 기술과 인간은 서로를 조건지우며, 권력의 차이는 누가 더 강력한 네트워크를 구축했는가에서 나온다. 따라서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은 다양한 정치적 변화의 가능성을 열어주며, 그 변화의 방향은 기술-인간의 상호작용 과정에 달려있다. 현대사회에서 기술이 미치는 영향력을 고려해볼 때, 기술이 단지 수단일 뿐이라는 도구론적 관점은 거의 순진한 발상으로 보인다. 또한 기술이 그 자체로 자율성을 가지고 인간의 목적과 관계없이 발전해 나간다는 기술결정론적 관점은 지나치게 추상적이고 현실적 대안이 없으며, 기술과 인간 및 사회간의 역동적 흐름에 비추어 볼 때 크게 동의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정보통신기술이 기술과 인간의 역동적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사회ㆍ정치적 맥락 속에서 구성된다고 보는 사회구성론의 입장, 그 중에서도 특히 라투르의 입장이 가장 타당하다고 본다.

목차

국문 초록
 Ⅰ. 서론
 Ⅱ. 기술철학의 개념과 역사
 Ⅲ. 기술철학의 주요 이론
 Ⅳ. 기존 논의의 한계와 대안적 전망
 참고 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최고은 Choi, Ko-Eun. 울산 범서중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