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청소년 박람회 공간구성 및 부스디자인 개선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space construction and booth design for the Youth EXPO

이란표, 김현중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Due to the various factors such as the deterritorializing of the experiencing spaces, the epochal
turnover of the cognition paradigm through the postmodern thinking praxis and the formation of the qualitatively new communication means, the way of perception of ordinary people has been enormously changed, and the juvenile generation sensitive to this changing is facing to endless challenges that are brought about in the complex signifying space as the referencing context between the senses or the matrix between the images. In this sense the Youth EXPO as the field for the intermediating of the potential abilities in the juvenility must be recognized as the way of dynamic communication which can give rise to the independent image processing. In the real exhibition space in which the architectural language and its signs are expressed respectively as the spacial operation and its form a kind of total communication gets accomplished which transmits meanings and values by combining the exhibited objects, the exhibition space, the exhibiting contents and the temporal element. To make the spontaneous and sensible juvenile communicate with each other compactly and effectively, the following factors must be considered: the space differentiation according to the ways of communication, the appropriate selection of the booth form, the professional and empathetic color planning, the impressive and
harmonious space form, and the suitable lighting planning. If all of these factors are commensurately with each other applied to the exhibition design, we can get a ‘long-remaining booth’. This study that based on a new understanding about the changings on a global level and a level of human perception analyzes the already held Youth Expos is purposed to explicate the existing problems and to grope for the improvements for the exhibition space construction and booth design.

한국어

최근 전 지구화 과정으로 인한 국경과 인종과 이데올로기를 넘어선 생활방식 및 체험공간의 탈경계적 변화, 포스트모던적 사고를 통한 인식패러다임의 획기적 전환 및 질적으로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방식의 생성 등을 통해사람들의 지각방식은 현격히 변화하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에 민감한 청소년 세대는 비위계적이고 비선형적인 ‘감각들 간의 지시연관’ 내지는 ‘이미지들 간의 연쇄’라는 복합적인 의미화 작용공간에서 끝없는 도전을 받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청소년들에게 잠재되어 있는 무한한 가능성들을 발굴하여 미래의 동력으로 계발시키기 위한다양한 청소년 활동의 전시의 장인 청소년박람회는 일방적인 정보전달 체계와는 달리 쌍방 커뮤니케이션을 형성하여 독자적인 이미지 창출 효과를 야기 시킬 수 있는 역동적인 커뮤니케이션의 장으로서 자리 매김되어야 한다. 건축언어와 기호가 공간과 형태로 표현되는 역동적 커뮤니케이션의 장인 전시공간에서는 전시 대상물과 전시환경으로서의 공간, 전달대상, 그리고 시간적 요소의 조합을 통해 의미와 가치를 전달하는 총체적인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진다. 즉자적이고 감각적인 청소년 세대에게 짧은 시간 내에 전시물에 대한 압축된 조망을 주고 부스 내에
서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커뮤니케이션 영역에 따른 공간구분, 부스종류의 올바른 선택, 공감이 가는 색채계획, 인상 깊고 조화로운 형태 등이 조화롭게 고려되어야 한다. 그리하여 이러한 모든것들이 잘 고려된 부스는 ‘기억에 오래 남는 부스’가 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세계의 변화 및 인간의 지각방식의 변화에 대한 인식을 토대로 해를 거듭할수록 관심과 참여가 증대되고 있는 청소년박람회의 현황과 박람회의 공간구성 분석으로부터 출발하여 이미 진행된 청소년박람회들에서의
문제점들을 도출하고 청소년박람회 전시공간의 구성체계, 컨셉, 전시 컨텐츠와 전시부스 표현요소 등에 관련된 개선방안들을 모색해보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목차

요약
 Ⅰ. 서론
  1. 연구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II. 청소년박람회 개요 및 현황
  1. 청소년박람회 현황
  2. 청소년 박람회 목적 및 취지
  3. 청소년박람회 참여단체 및 전시장 구성
  4. 청소년 박람회 컨텐츠 구성 및 운영방향 - 제4회와 5회를 중심으로
 III. 청소년 박람회 전시부스의 문제점
  1. 박람회 운영상의 문제
  2. 전시장 공간구성 및 배치
  3. 박람회 프로그램과 전시부스의 공간구성
 IV. 청소년 박람회 공간 개선방안
  1. 역동적 매개 작용으로서의 청소년 박람회 - 컨텐츠 구성의 측면에서
  2. 청소년 박람회 공간개선제안 - 효율적 공간구성및 운영의 측면에서
  3. 커뮤니케이션에 기초한 전시부스와 표현요소 - 부스설치 및 전시부스 공간구성적인 측면에서
 V.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란표 Lee, Ran-Pyo. 배재대학교 건축학부 조교수
  • 김현중 Kim, Hyun-Joong.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학부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