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학업성취수준에 따른 청소년의 심리적 변인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f Psychological Variables based on Academic Achievement Levels - Middle School Students' Cases -

유진이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ed at showing how the depression, self-regulation, Internet addiction, and
self-esteem are controlled based on the diverse academic achievement levels. The 356 middle school students' measurements for depression, self-regulation, Internet addiction, and self-esteem are analyzed and evaluated. The results are like followings. First, the higher th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level, the lower the students' depression level. Second, the students at higher academic achievement level showed higher level of self-regulation mode. However, in the case of volitional inhibition mode,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bout academic achievement level between the students at higher academic achievement level and the students at lower academic achievement level did not exist. Third, in the case of Internet addictio n, the disturbance of adaptive functions and virtual interpersonal relationship did show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However, the disturbance of reality testing, addictive automatic thought, withdrawal, deviate behavior, and tolerance did not show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Fourth, the higher th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level, the higher the students' self-esteem level.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학업성취 수준에 따라 심리적 변인인 우울감, 자기조절능력, 인터넷 중독, 자아존중감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중학생 356명을 대상으로 우울감 척도, 자기조절능력 척도, 인터넷 중독 척도, 자아존중감 척도를 실시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학업성취수준에 따른 우울감은 성적이 좋을수록 우울감이 낮았다. 둘째, 학업성취수준에 따른 자기조절능력은 하위요인인 자기조절양식에서는 성적이 좋을수록 자기조절양식이 높았지만, 의지적 억제양식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학업성취수준에 따른 인터넷 중독에서는 하위요인인 일상생활장애와 가상적대인관계지향성에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현실구분장애, 긍정적 기대, 금단, 일탈행동, 내성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학업성취수준에 따른 자아존중감에서는 성적이 좋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요약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문제
 Ⅱ. 이론적 배경
  1. 학업성취와 우울감
  2. 학업성취와 자기조절능력
  3. 학업성취와 인터넷 중독
  4. 학업성취와 자아존중감
 Ⅲ. 연구방법
  1. 연구 대상
  2. 측정도구
  3. 자료분석
 Ⅳ. 연구결과
  1. 학업성취에 따른 우울감
  2. 학업성취에 따른 자기조절능력
  3. 학업성취에 따른 인터넷 중독
  4. 학업성취에 따른 자아존중감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유진이 Yoo, Jeanie. 평택대학교 청소년복지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