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청소년의 대상관계수준과 낙관성 간의 관계에서 자기위로능력의 매개효과

원문정보

The Effect of Teenagers' Object Relation Level on Optimism : With the Mediation of Soothing Ability

이지연, 민선희, 김미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Korean teenagers' object relation level, optimism and soothing ability, and to examine the effect of object relation level on optimism with the mediation of soothing ability.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the total 456 students of the middle and high schools located in Kyonggi province. For the data processing, SPSS WIN 12.0 programs were used in order to examine overall characteristics of data.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used to understand the relation among object relation level, optimism and soothing ability,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implemented to understand the influence of object relation level and soothing ability on optimism.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implemented to understand the mediation effect of soothing ability. The major findings and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object relation level and the level of optimism. Second, there were high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object relation level and soothing ability.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soothing ability and the level of optimism. Fourth, soothing ability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object relation level and optimism.

한국어

본 연구는 청소년의 대상관계수준과 자기위로능력, 낙관성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자기위로능력이 대상관계수준과 낙관성을 매개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지역 소재 남녀 중고생 46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자료분석을 위해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대상관계, 자기위로능력, 낙관성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대상관계수준과 자기위로능력은 낙관성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대상관계수준과 낙관성을 매개하는 자기위로능력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매개효과검증을 한 결과, 자기위로 능력은 대상관계수준과 낙관성 간의 관계를 유의하게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대상관계수준은 그 자체로 낙관성에 영향을 주기도 하지만, 자기위로능력을 향상시키고 이것이 다시 낙관성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연구결과의 제한점과 후속연구의 제언을 덧붙였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측정도구
  3. 자료분석
 Ⅲ. 연구결과
  1. 대상관계 수준, 자기위로능력, 낙관성의 상관관계분석
  2.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한 자기위로능력의 매개효과 검증
  3. 자기위로능력의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 검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지연 Lee, Jee-yon. 인천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 민선희 Min, Sun-hee.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 김미진 Kim, Mi-jin. 서강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