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적극적 자립지원을 중심으로 한 미국의 복지개혁

원문정보

Welfare Reform in the U.S.: Active Self-sufficiency Support Policy

박미혜, 박경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reviews the evidence about how children fare under welfare reform in the U.S. based on several welfare reform experiments conducted during the 1990s. The welfare reform experiments are of three types: (1) mandatory employment services that required parants to participate in employment related activities if they received welfare assistance, (2) earnings supplements that provided additional income to parents who worked and (3) time limits that restricted the length of time that families could receive welfare assistance. The welfare reform seems to achieve considerable progress; welfare caseload has declined sharply to reach less than 50% of its 1994 peak, single mothers' labor force participation has increased substantially, and child poverty has decreased. On the basis of this review, I suggest some policy impications for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Act(NBLS) in Korea. First, NBLS needs to be improved to be able to provide the poor with the basic livelihood security. In particular, policy priority should be put on those who can not work over those who can work. Second, NBLS needs to puch its beneficicaries who can work to leave NBLS and to participate in the labor market. At the same time, in order to help low-income workers to accomplish self-sufficiency through the labor market, it is important to expand the public assistance for the low-income workers.

한국어

본 연구는 1996년 미국의 복지개혁의 과정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미국의 경험이 우리나라 공공부조정책에 미치는 함의를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미국의 복지개혁이란 ‘개인 책임과 근로기회조정법’(PRWORA)의 제정과 함께 대표적인 공공부조정책인 AFDC를 폐지하고, TANF로 대체한 것이다. 복지개혁의 중심내용은 근로를 통한 자립이다. 즉 근무의무조건을 강화하고 복지수급기간을 제한하는 것이다. 그 결과, 공공부조 수급자의 획기적인 감소, 저소득 편모가구의 노동활동 증가, 그리고 아동빈곤의 감소 등 긍정적인 변화를 이루었다. 이러한 미국의 경험은 자활조건부 기초생활보장수급을 도입한 우리나라의 공공부조정책에 유용한 함의는, 첫째, 기초생활보장의 내실화를 기하여야하고, 둘째, 근로능력을 가진 수급자들에 대하여 경제적 유인과 강제적 압박을 통하여 이들을 노동시장에 참여시키고, 저임금 근로자에 대한 지원정책을 강화하여야 한다.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AFDC 프로그램의 변천과정
 Ⅲ. AFDC 프로그램의 문제점
 Ⅳ. TANF의 제정
 V. 복지개혁의 효과
 Ⅵ. 결론 및 함의
 <참고문헌>
 

저자정보

  • 박미혜 Park, Mee Hye. 경기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상임연구원
  • 박경순 Park, Kyung Soon. 대구사이버대학교 재활복지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