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민주시민 의식과 투표참여: 정치교육에 대한 함의

원문정보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Voters' Perception on Civic Duty and their Participation in Election

조진만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voters' perception on civic duty and their participation in election. This study creates various kinds of independent variables aiming to measure the concept of civic duty discussed by Riker and Ordeshook. In this study, I can inspect which variable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voters' decision to participate in election. The statistical results show that party affinity and political efficacy significantly influenced voters' decision to participate in election. In addition, among the control variables, the intensity of ideology and age turn out to be the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to the electoral participation.

한국어

본 연구는 민주시민 의식과 투표참여간의 관계를 18대 총선 유권자 설문조사 자료를 토대로 경험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정치교육적 관점에서 그 함의를 모색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 유권자의 민주시민의식과 관련하여 설정한 독립변수들은 모두 투표 참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가운데 특히 정당친밀감과 정치효능감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통제변수로 설정한 독립변수들 중 유권자의 이념과 연령이 투표 참여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고려할 때 향후 한국에서 투표율 하락의 위기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단기적인 인센티브 제공보다는 장기적인 차원에서 민주시민교육을 강화하는 노력이 요구된다. 특히 현실적으로 한국에서 민주시민교육을 담당하는 국가기관이 상대적으로 취약하고, 정당들 역시 민주시민교육의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고 있지 못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다. 또한 지역별 관학협동을 통한 다양한 민주시민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하는 노력도 요구된다.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논의와 연구가설 정립
 Ⅲ. 연구 모델과 조작화
 Ⅳ. 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조진만 Cho, Jinman. 인하대학교 국제관계연구소 연구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