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국 인문학

염상섭의 20년대 연애소설과 유학의 경험

원문정보

Study on the Romance Novel in 1920's by Yeom Sang-Syub and Korean Student Studying in Japan as the Second Generations

이태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discourse of love was ventilated in a angle of transplantation and importation. But a study on the meaning of the outer layer could'nt figure out the system of a deep level in Cho-sun. Consequently, this study analyzes out the students studying in Japan, their social classes, and their ideological intentions. The culturalism in Taishō period was a ideological background of a young generation, and showed a two sides of a self-accomplishment. The students in 1920's who studied in Japan as a second generation made a major discourse in a literary field. So we should discuss their class as a power group with a cultural and ideological influence in Taishō period. They made through with literature and art under a basement of liberalism which advanced a society with self-development. Discourse of love is analyzed in this classical background. But the social advance under self-development resulted in the loss of confidence because there was no opportunity of moving over higher lank. Therefore, the loss of confidence resulted in a loss of reality in a literature and art.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he working system of society which formed a society as the dominant discourse. The dominant discourse was went by audiences. So we can explain the reason of a vogue in love. The romance novel in 1920's by Yeom sang-syub shows the mechanism of literary field.

한국어

1920년대의 연애담론은 근대담론의 수입과 이식이라는 관점에서 다루어져왔다. 하지만 담론의 표층적 의미가 어떤 식으로 전래되었는지를 규명하는 연구는 그 담론이 조선사회 내에서 작동하는 방식을 규명하지는 못한다. 따라서 본고는 1920년대 연애담론의 담지자로서 권력구조를 이루었던 20년대의 일본 유학생들의 특징을 분석하고, 그들이 영향 받은 다이쇼 교양주의의 의미와 영향, 그리고 20년대 유학생들의 계층적 특징과 사상적 지향점을 분석하였다. 다이쇼기 교양주의는 메이지기의 입신출세와 부국강병이라는 목표가 사라진 다이쇼기 청년층의 상실과 내재적 자기완성의 양면성을 보여주는 사상적 배경이었다. 2기 유학생으로 지칭되는 20년대의 일본 유학생 집단은 20년대 우리 문학의 장에서 중요한 담론을 형성하고 권력구조의 담당층으로서 이러한 다이쇼기 일본의 문화적 사상적 영향과 함께 논의되어야 하는 집단이다. 이들은 개인적 수양을 통하여 사회를 발전시킨다는 자유주의의 이론적 기반 하에, 특히 예술과 문학에서 뛰어난 성취를 보여주었는데 20년대 연애담론은 이러한 계층적 담론적 배경 하에서 분석될 수 있다. 하지만 개인적 수양을 통한 사회의 발전이라는 명제는 현실적 신분상승의 기회가 지극히 제한적인 상황에서는 상실감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었고, 그것이 문학과 예술에서 현실감의 상실과 文弱으로 나타난 것은 당연한 결과였다. 중요한 것은 이러한 담론이 지배담론으로서 사회를 구성하고 영향력을 행사하는 방식일 것이다. 지배담론은 수용자에 의해서 작동한다는 점에서 20 년대의 연애담론이 피상적 유행에 그치고 만 이유를 설명할 수 있게 된다. 20년대의 사회구도가 일면으로는 사회적 발전이라는 거대담론을 지향하지만 개인적으로는 퇴폐와 데카당스라는 일탈을 보인다는 이중성을 설명하는데 교양주의는 가장 유용한 배경이 된다. 연애에 있어서도 이러한 작동방식은 반복된다는 점에서 20년대 교양주의는 중요한 논점이 되며, 염상섭의 20년대 연애소설은 이러한 매개항들이 작동하는 하나의 문학장을 보여주고 있다.

목차

국문요약
 1. 염상섭과 유학의 경험
 2. 다이쇼기 교양주의와 조선인 유학생
 3. 연애의 이상과 데카당스, 그리고 문학장
 4. 염상섭 연애소설의 의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태숙 Lee. Tae-Sook. 단국대 국어국문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