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순경음 ‘ㅱ’의 종성 표기에 대하여

원문정보

The Orthography of Final Sound 'ㅱ'

유효홍

국어사학회 국어사연구 제10호 2010.04 pp.233-269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Based on the regulation of the Hunmin-jǒng.ǔm Haerye(訓民正音解例), the light lip sound 'ㅱ' should be interpreted as a bilabial fricative nasal consonant. But, in the middle Sino-Korean, the syllable’s final 'ㅱ' was actually used as a transcription of Chinese ending [w]. Then, follow the questions why a semi-vowel is transcribed with a consonant character, and why different characters are used to transcribe on-glide [w] and off-glide [w]. To explain these questions, this study researches examples of Sino-Korean words with final 'ㅱ' in middle Korean literatrue, refers to the testimonies of Ch'oe Se-jin(崔世珍), and compares the transcription in Sino-Korean with that in Meng ku tzu yün(蒙古字韻). Consequently, there are two reasons for the orthography of final 'ㅱ'. The inner reason is that there were no vowel clusters like 'ao(ᅶ), ǒu(ᅻ)' in the Hunmin-jǒng.ǔm writing system because of the Korean syllable structure which has no off-glide [w]. And the external reason is reference to the transcriptional method of Meng ku yün(蒙古韻) which used a same character to transcribe Chinese wei-consonant(微母) and ending [w]. The sound of wei-consonant became reduced to semi-vowel [w] in the near ancient times, which had been a light lip consonant in ancient Chinese. So there is no problem about using a semi-vowel character to transcribe both wei-consonant and ending [w] in Meng ku yün . But the Korean character 'ㅱ' was not a semi-vowel character in the system of Hunmin-jǒng.ǔm. It was a light lip consonant. Therefore, even though superficially it looks the same with the Meng ku yün's transcription, the orthographic problems of final 'ㅱ' arose because of the differences between their writing systems and the understandings of wei-consonant. And beside the attitude that considering Meng ku yün as important, the more basical reason for the orthography of final sound 'ㅱ' may be the exclusion of transcriptional method not in accord with Hunmin-jǒng.ǔm writing system that based on Korean syllable structrue.

한국어

󰡔훈민정음󰡕의 규정에 따르면 ‘ㅱ’은 양순마찰비음 정도의 자음으로 이해될 수 있다. 그러나 중세 한자음 종성 표기에 쓰인 ‘ㅱ’은 실제로 운미음 [w]에 대한 표기로 쓰였다. 따라서 왜 자음에 쓰이는 글자로 반모음 [w]를 표기하였는지, 그리고 상향이중모음과 하향이중모음의 반모음 [w]에 대한 표기 방식이 왜 다른지 등 문제를 제기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명하기 위해서 이 글에서는 중세 문헌 자료에 나타난 ‘ㅱ’의 표기 용례를 정리하고 이에 대한 최세진의 증언을 고찰하여 몽고운의 표기와 비교하고 검토하였다. 그 결과 ‘ㅗ/ㅜ’를 쓰지 않고 ‘ㅱ’으로 운미음 [w]를 표기한 것은 두 가지 원인으로 해석하였다. 내적 원인은 한국어에서 [w]가 후행하는 음절구조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ㅗ/ㅜ’가 후행하는 중성 합용자 ‘ᅶ, ᅻ’ 등 표기 방안도 염두에 두지 않은 것이다. 외적 원인은 微母와 운미 [w]에 대하여 같은 표기 ‘’를 취한 몽고운의 방식에 근거를 두었기 때문이다. 한어의 微母는 원래 순경음 계열의 자음인데 근대 이후 [w]로 약화되기 시작하였기 때문에 그 변화를 중시하여 [w]의 음가를 갖는 파스파문자 ‘’로 변화된 微母를 표기한 몽고운의 방식은 큰 문제가 없었다. 이와 달리 훈민정음의 ‘ㅱ’은 원래부터 [w]의 음가를 갖는 문자가 아니라 순경음 계열의 자음자로서 微母의 정음을 표기하는 데 쓰인 글자였다. 이런 문자 체계상의 차이와 한어 微母에 대한 인식 차이로 인해 비록 겉으로는 몽고운 표기 방식과 일치하지만 훈민정음의 종성 ‘ㅱ’의 표기는 문제가 생기게 되었다. 그러나 여러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종성 ‘ㅱ’을 쓴 것은 몽고운의 표기 근거를 중시한 당시 학자의 태도라기보다는 한국어를 일차적 표기 언어로 목표한 훈민정음으로서 외국어를 표기할 때, 한국어의 음절 구조에서 벗어나는 표기 방식은 일차적으로 배제되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목차

요약
 1. 문제제기
 2. 중세 문헌의 ‘ㅱ’ 표기 용례
 3. 최세진의 증언과 그 해석
 4.『蒙古字韻』 에 대한 검토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유효홍 Yu, Xiao-Hong.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박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