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字類註釋』수록 한문 주석의 사전적 특성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dictionary feature of chinese annotation in Jaryujuseok

『자류주석』수록 한문 주석의 사전적 특성 연구

서수백, 김선희

국어사학회 국어사연구 제10호 2010.04 pp.175-198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s of this article is an analyzing dictionary feature of chinese annotation in Jaryujuseok, edit by Yoon-yong Joeng in 1856. Jaryujuseok is Classified Korean Word Books. It consists of five parts and thirty five classified items. Jaryujuseok, however, has each headline of 10,895 chinese characters, As for definiens, it has a precise and systemic form following Chinese character-lemma, Korean meaning of Chinese character, the pronunciation of Chinse character and Chinese annotation. Lemmas were increased in number by comparison with former classified wordbooks. The system has also advanced considerably. Especially, Chinese annotation in each lemma chinese character is a distinguishing system which certainly shows the lexical feature of Jaryujuseok. The lexical feature of Jaryujuseok explains two sides, the explanation form and included contents of Chinese annotation. The explanatory remarks of Chinese annotation is divided into explanation form and replacement one. The explanation form of Chinese annotation interprets the meaning of lemma Chinese character as an explanation way, and the replacement one uses lexical examples without an explanation. In case of the replacement one, there is no repetitive explanation when the annotation is a synonym. Instead, one or some letters are interpreted as an explanation way and the rest ones are substituted with lexical examples. Many of substituted lexical examples are not in an existing Korean language dictionary. For example, ‘분은(砏磤)’, ‘빙팽(砯砰)’, ‘측력(崱屴)’, ‘정두(飣餖)’, ‘랍탑(邋遢)’, ‘과사(㗻唆)’. The contents of chinese annotation have meaning, pronunciation, example, forms and reference information. This information consists of various and detailed contents which cannot explain with only the meaning of Chinese character written in Korean language and the pronunciation of Chinse character. Therefore, Chinese annotation in Jaryujuseok is similar with an existing Korean language dictionary showing the form of definiens. Analysing the system and matter of meaning of chinese character from a lexicographic view is to identify relationships between literature and to be helpful for publishing a Korean language dictionaries as well as Chinese character dictionaries.

한국어

이 글은 1856년 정윤용에 의해 편찬된 󰡔자류주석󰡕에 수록된 한문 주석에 나타나는 사전적 특성을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5部 35類의 분류 체재를 갖추고 있는 󰡔자류주석󰡕은 그동안 분류어휘집으로서 다루어져 왔다. 그러나 󰡔자류주석󰡕은 10,895의 한자를 하나하나 낱자로 표제화하고 이에 대한 풀이항으로 ‘우리말 자석 - 한자음 - 한문 주석’을 매우 정밀하고 체계적으로 갖추고 있다. 이는 다른 분류어휘집이나 한자 학습서에 비해 수록 한자수가 많을 뿐만 아니라 그 체재도 한층 진전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표제 한자마다 있는 한문 주석은 󰡔자류주석󰡕이 사전으로서의 특성을 나타내는 특징적인 체재이다. 기술 형식과 수록 내용 두 가지 측면에서 사전적 특성을 살펴보면, 기술 형식은 ‘설명형’과 ‘대치형’으로 나뉜다. ‘설명형’ 한문 주석은 표제 한자의 의미를 설명식으로 풀이한 것이고 ‘대치형’ 한문 주석은 설명식 풀이 없이 용례 어휘만을 사용한 것이다. ‘대치형’ 한문 주석은 異字同釋(synonym)인 경우에 반복된 풀이를 하지 않고 한 자 또는 일부의 한자에만 설명식 풀이를 하고 나머지는 용례 어휘로 대치하였다. 대치된 용례 어휘들 중에는 현대 국어사전에 등재되어 있지 않은 것이 많은데 그 예로 ‘분은(砏磤)’, ‘빙팽(砯砰)’, ‘측력(崱屴)’, ‘정두(飣餖)’, ‘랍탑(邋遢)’, ‘과사(㗻唆)’ 등이 있다. 한문 주석에 수록된 내용으로는 의미 정보, 한자음 정보, 용례 정보, 자형 정보, 참고문헌 정보 등이 있다. 이 정보들은 앞에 제시된 우리말 자석과 한자음만으로 알 수 없는 다양하고 상세한 내용들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자류주석󰡕 수록 한문 주석은 현행 국어사전에서 볼 수 있는 풀이항의 형식과 유사한 것을 알 수 있다. 자석 자료들의 체재와 내용을 사전학적 관점에서 분석하는 것은 문헌 상호간의 영향관계를 파악하고 한자사전 뿐만 아니라 국어사전을 편찬하는 데도 보탬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요약
 1. 들머리
 2. 사전적 특성 분석
 3. 마무리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서수백 Seo, Su Baek. 경운대학교 전임강사.
  • 김선희 Kim, Sun hee. 경운대학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