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Gender Analysis as Feminist Research Method and Innovations of Technology Kim, Hyu-Ryun (Yonsei Univ.) The aim of the paper is to offer ‘gender analysis’ as feminist research method, and to show how gender analysis can make possible knowledge innovations in science and technology. Gender analysis ultimately pursues to dismantle the barriers against autonomy and equality and to bring about ‘material change’ in women’s life. However, gender analysis as research method first must deal with the so-called ‘knowledge problem’ in order to justify itself as the matrix of rational, objective, and just knowledge. Therefore, feminist philosopher of science and technology attempts to offer a valid argument for gendered scientific knowledge before s/he delves into decision making procedures toward new institutions and policies. That is to say, gender analysis aims to protect men and women from intellectual loss due to gender-insensitivity and to offer practical initiatives for inducing the balanced and responsible knowledge producing process. I give some of the successful examples of knowledge or technical innovations from delivering gender analysis as research method in the latter part of the paper. I pick up two instances from Archaeology and Automobile engineering. Olga Soffer succeeded in making ‘a big find’ through reconstructing and reenacting of women’s craft and textile technology. Such findings can only be made possible by creating imaginative and gender-sensitive narratives. Women engineers team at the Volvo auto company designed the concept car ‘YCC’ in 2004. The car was designed to satisfy the professional and tasteful female driver. The design team applied Ergovision to YCC in order to accommodate the physically non-standard drivers and to enhance the level of security. The outcome was satisfactory and the team got the positive feedbacks from the professional dealers and ordinary people.
한국어
이 글의 목적은 젠더분석을 여성주의 연구방법으로 제안하고, 젠더분석이 과학과 기술의 여러 분야에서 실제로 어떤 기술적ㆍ실천적 지식 혁신을 가져왔는지를 보여주는 데 있다. 젠더분석은 궁극적으로 여성의 삶에서 불평등을 해소하고 공정성과 역량강화를 위해 실질적인 변화를 모색하는 것을 추구하지만, 그러한 실천적 목표를 정당화하기 위해 먼저 합리적인 절차에 의거한 타당한 지식 산출에 기초하고자 한다. 그러므로 제도적ㆍ정책적 전략을 세우기에 앞서 젠더분석은 이른바 ‘지식 문제’에 대해 합리적이고 타당한 논증을 제시한다. 즉 젠더 분석은 남성과 여성 모두에게 편견과 무지에 기인하는 지적 손실을 막고 풍요롭고 도덕적으로 정의로운 삶을 영위하기 위해 균형 있고 책임감 있는 지식 생산 과정과 실천 방안을 모색하려 한다. 이 글의 전반부는 젠더와 ‘지식 문제’에 중점을 두어 논의한다. 여성주의 과학 기술과 연관하여 지식 문제는 지식 생산에서 젠더의 입지가 무엇이며 구체적으로 어떤 역할을 하는 것인가 하는 물음을 둘러싸고 전개되어 왔다. 과학적 지식과 젠더는 아무런 내적 관계를 갖지 않는다고 보는 전통적 입장에 따르면 젠더는 오히려 과학적 지식을 오염시키는 오염변수가 될 수 있다. 과학자 자신의 개인적인 기호나 편견이 그가 탐구하는 학문에 개입하지 않아야 하듯이, 젠더는 단지 연구자의 개인적인 문제일 뿐이므로 과학적 지식과는 연관성이 없다는 것이다. 그 반면에 현실의 변화를 도모하는 기술가의 경우, 다양한 종류의 변수들이 복잡하게 얽혀있는 현실 세계를 초기 조건으로 갖는다. 변화를 추구하는 일은 연구자 자신을 비롯하여 기술의 잠재적 수혜자들의 신체적 필요와 욕구, 그리고 사회적 역할과 긴밀하게 연관된다. 그러므로 과학 연구와 기술 개발 과정에서 연구자의 젠더를 중요한 변수로 다루는 것은 오히려 객관적이고 풍성한 지식 산출을 유도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젠더를 고려하지 않는 과학이나 기술은 피폐한 최소주의적 지식을 산출할 수밖에 없다. 이 글의 후반부에서는 젠더분석을 연구방법으로 삼아 과학과 기술 분야에서 새로운 지식의 생산과 기술 혁신을 이룬 사례를 고고학과 자동차공학에서 제시한다. 여성의 삶에서 유의미한 활동들의 성격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고고학적 자료에 접근할 때, 그러한 이해 없이는 접근할 수 없는 지적 지평이 열리고 창의적인 상상력을 통해 과거의 기술의 양태를 복원해낼 수 있음을 보일 것이다. 자동차 공학의 경우, 여성 운전자의 필요와 욕구를 분석하여 종래의 남성중심적인 자동차 설계를 획기적으로 개선함으로써 운전자의 안전과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었던 볼보사의 YCC 사례를 보여줄 것이다.
목차
2. 연구방법으로서의 젠더분석
3. 기술 혁신과 ‘지식 문제’
4. 기술 설계와 사회의 재귀적 관계
5. 젠더분석이 기술혁신을 이끈 사례: 고고학과 자동차공학
6. 맺는 말
참고 문헌
국문 초록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