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특집발표 : 권위상실시대의 권위

근대적 사유의 권위적 특성과 대안적 사유의 가능성에 대하여 -근대적 합리성의 한계와 ‘권위 없는 권위’-

원문정보

Autoritaerischer Charakter des modernen Denkens und eine Alternative

정대성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utoritaerischer Charakter des modernen Denkens und eine Alternative Jeong, Dae Seong (Yonsei Univ., Wonju Campus) Der Modernisierungsvorgang läßt sich als Prozeß der Emanzipation der Menschen von der äußeren Autorität lesen. Dieser Prozeß endet aber mit dem Wechsel von einer äußeren zu einer inneren Autorität, nicht der Emanzipation von der Autorität selbst. Der Grund liegt darin, daß die moderne, sunbjektivistische Vernunft auf der Herrschaftstruktur beruht, die der Ausgangspunkt der Autorität ist. Die Aufklärung, die die premoderne Autorität zerstört hat, produziert eine neue Autorität. Um das Ideal der Moderne zu verwirklichen, konzentriet sich also das Problem auf die Frage, ob die Autorität ohne Autorität möglich ist. Die kommunikative Rationalität von Habermas ist würdig als eine Möglichkeit dafür zu empfehlen. Ihr Prinzip, das keinen anderen Zwang zulassen soll als dem besseren Argument, zeigt eine Bemühung, die moderne Idee von Freiheit und Egalität auf der Post-Autorität zu begründen.

한국어

우리는 근대 이후 오늘에 이르는 과정을 권위로부터의 인간해방의 과정으로 읽을 수도 있다. 그런데 근대의 과정은 외적 권위(예컨대 신)에서 내적 권위(예컨대 이성, 계몽의 합리성)로의 권위의 이동을 보여줄 뿐 권위자체로부터의 해방을 보여주지 못한다. 왜냐하면 권위는 기본적으로 지배구조를 그 패러다임으로 하고 있는데, 근대의 이성은 이러한 지배구조의 패러다임에 기초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근대, 혹은 계몽의 권위파괴는 새로운 유형의 내적 권위를 세우는 것으로 끝나며, 이것은 결국 근대의 이상인 인간 해방과 그 이념인 자유와 평등을 실제로 구현할 수 없는 것으로 그치게 한다. 따라서 근대의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권위 없는 권위”가 가능할까에 모아진다. 하버마스에 의해 정초된 의사소통적 합리성은 그 한 가능성으로 소개될만하다. ‘보다 나은 논증’이외에는 어떤 다른 강제도 허용해서는 안 된다는 의사소통적 합리성에는 근대의 이상인 자유와 평등의 이념을 탈권위에 기초하여 세우려는 노력이 보인다.

목차

1. 서론
 2. 권위란 무엇인가?
 3. 탈권위의 서막: 근대와 주체성의 철학
 4. 근대적 이상의 정치적 버전: 탈권위적 정치체로서의 민주주의
 5. 탈권위의 한 모형-하버마스의 의사소통의 모델
 참고 문헌
 국문 초록
 Zusammenfassung

저자정보

  • 정대성 Jeong, Dae Seong. 연세대, 원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