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삼킴장애 환자의 튜브영양법: 구강식도관의 유용성

원문정보

Tube feeding of Dysphagia: The effect of oroesophageal tube feeding

송영진, 박은정, 윤인진, 박성종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certain how to use oroesophageal tube feeding, and to compare the complications of oroesophageal tube feeding and nasogastric tube feeding. This study is also us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nserting and removing an oropharyngeal tube in the oropharyngeal mucous membrane, and to discover the effects of an injured mucous membrane, damaged from the insertion and removal of a tube, on a patient's swallowing function and diet. Methods : The subjects are made up of 31 dysphagia inpatients of the A medical center who are able to use oroesophageal tube feeding. The subjects' criteria are as follows: 1) onset of the condition within three months, but with stabilization and the ability to receive swallowing therapy, 2) enforcement of non-oral feeding, 3) ability to understand the method of oroesophageal tube feeing, and 4) agreement to this study. Using a medical chart, an outcome measurement is used to compare complications, and changes of diet are used to evaluate the swallowing function before and after applying oroesophageal tube feeding. Results : The duration of oroesophageal tube feeding is 30.71±51.78 days. The subjects suffer from brain injuries (64.52%), head and neck cancer (19.35%), Parkinson's disease, and cervical injuries (16.13%). Complications using nasogastric tube feeding arose in 8 subjects (25.82%), including pneumonia, diarrhea, and hemorrhaging. This is more than the complications from esophageal tube feeding, which inflicted 2 persons (6.46%). Also, when inserting and removing the oropharyngeal tube, there were no negative effects on the oropharyngeal mucous membrane, oropharynx, or larynx. In esophageal tube feeding, there is a significant increase in diet progression (p<.00). Conclusion : The complications in using esophageal tube feeding are lower than in nasogastric tube feeding. Also, repetitive mechanical stimulation from inserting and removing the tube does not affect the progress of swallowing function or diet.

한국어

목적 : 본 연구는 비구강 영양법인 구강식도관의 사용법을 알아보고 구강식도관을 적용하였을 때 합병증이 발생하 는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구강식도관의 잦은 삽관과 제거가 구강 인두의 점막과 구조에 손상을 일으켜 삼킴 기능 및 식이 진행에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본 연구는 A병원에 입원하여 삼킴장애 진단을 받은 환자 중 구강식도관 영양법이 가능한 31명을 대상 으로 하였다. 대상자의 선정 기준은 1) 발병 후 3개월 미만의 삼킴장애 환자로 생태 징후가 안정되어 고식적인 연 하재활치료를 받고 있는 경우, 2) 비구강 영양 공급을 시행하고 있는 경우, 3) 구강식도관의 영양법을 인식하고 영 양관 사용에 참여가 가능할 정도의 지시 따르기가 가능한 경우, 4) 연구 참여를 동의한 경우로 하였다. 의무기록을 통해 구강식도관의 적용 전후에 생기는 합병증을 조사하였고, 식이 단계 변화를 통해 구강식도관 사용 전후 삼키 는 능력을 평가하였다. 결과 : 우구강식도관 사용 기간은 30.71±51.78일 이었으며 대상자는 뇌손상(64.52%), 두경부암(19.35%), 파킨 슨과 경추손상(16.13%) 등으로 다양한 질환군에서 사용이 가능하였다. 구강식도관 사용 후 나타난 합병증은 2명 (6.46%)으로 1) 구강식도관 적용 전 비위관 사용시 폐렴, 설사, 출혈 등이 나타났던 8명(25.82%)보다 현저히 낮 은 발생율을 보였다. 또한 2) 구강식도관의 반복적인 삽입이 구강점막과 구강인두, 기도 등에 기계적인 손상을 주 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강식도관 적용 후에 식이단계의 변화에도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p<.00). 결론 : 본 연구의 결과는 1) 초기 삼킴장애 환자에게 비구강 영양법을 시행할 경우 비위관을 사용했을 때 보다 구강 식도관을 사용했을 때 합병증의 발생율이 저하되었다. 2) 구강식도관의 적용 시 기도와 구강인두부위에 반복되는 기계적 자극으로 인한 손상은 없었고, 비위관을 대체하는 관영양법으로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3) 삼킴장애 환 자에게 구강식도관을 적용하였을 때 삼킴 기능의 호전을 보였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2. 연구 방법
  3. 검사 도구
  4. 분석 방법
 Ⅲ. 연구 결과
  1. 일반적 특성
  2. 구강식도관 적용 전후 합병증 발생률
  3. 구강식도관 삽입으로 인한 구강인두, 기도손상 유무
  4. 구강식도관의 적용 전후 식이 단계의 변화
 Ⅳ. 고찰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부록

저자정보

  • 송영진 Song, Young-Jin. 서울아산병원 재활의학과 작업치료실
  • 박은정 Park, Eun-Jung. 서울아산병원 재활의학과 작업치료실
  • 윤인진 Yoon, In-Jin. 서울아산병원 재활의학과 작업치료실
  • 박성종 Park, Sung-Jong. 서울아산병원 재활의학과 언어치료실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