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독일 문화외교의 발전과 특성 - 지향점ㆍ실행체계ㆍ활동단체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Development and Features of German Cultural Diplomacy - Focused on Its Goals, Cooperation System and Organizations

박병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cultural diplomacy as main area of the public diplomacy means all diplomatic activities which facilitate intercultural communication and try to get a favor for home country through the soft power of literature, art, science etc. But in German public or scientific sphere, the foreign cultural policy is generally used instead of terms cultural or public diplomacy. Also in goals, the German cultural diplomacy seems to be different from that of the United State and the new rising nations or middle power(small but strong countries). The German does focus on the intercultural communication or understanding and prevention of conflicts, while the United States on informing the liberal ideas and values based on traditional pan-americanism and world engagement and the rising or middle power strongly on nation branding. The another feature of German cultural diplomacy is to find in the mediator organizations. They are a judical person with special status which depends on the state budget, but keeps their legal and human autonomy. The present direction of German cultural diplomacy is oriented to the european integration. The cultural dialogue plays there as important tool for building european identity. However, we should strongly attend that the basis of european identity is not culture itself, but politics consisted of rule of law, pluralism, human rights and democracy. This principle also corresponds to the general goals of cultural diplomacy in era of post-cold war and globalization.

한국어

공공외교의 핵심 분야인 문화외교는 문화와 예술, 학문 등의 매개체를 통하여 상호이해를 증진시키며, 국제사회에서 자국 위상을 높이고 호감을 얻기 위한 일련의 외교적 행위를 의미한다. 그러나 독일에서는 공공외교나 문화외교라는 직접적 표현대신에 대외문화정책으로 통용된다. 지향점에 있어서도 독일 문화외교는 슈퍼파워 미국의 ‘제국지향적’이거나 우리와 같은 신흥산업국 또는 강소국들이 추구하는 ‘국격제고’가 아닌 이질문화 간 대화와 소통, 갈등예방에 초점을 둔다. 또 다른 특징은 자율적인 문화외교단체인 중개단체에서 찾을 수 있다. 특수법인 형태로 운영되는 중개단체는 비록 국가예산에 의존하고 있지만, 법률적으로나 인적으로 활동의 자율성을 보장받는다. 오늘날 독일 문화외교의 지향점은 유럽통합의 심화에 쏠려있다. 여기서 문화적 대화는 유럽정체성 형성에 중요한 수단이 된다. 그런데 유럽정체성의 기반은 문화자체가 아닌 법치국가, 다원주의, 인권, 민주주의를 내용으로 하는 정치라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이것이 탈냉전과 세계화라는 변화된 국제질서 속에서 문화외교의 보편적 목적에도 일치한다는 점에서 우리의 문화외교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목차

<국문초록>
 I. 서론
 II. 독일문화외교의 개념과 역사
 III. 신문화외교 '콘셉트 2000'
  1. '콘셉트 2000'의 배경
  2. '콘셉트 2000'의 과제
  3. '실천계획 : 민간차원의 위기예방과 갈등해소 그리고 평화정착'
 IV. 문화외교의 실행체계
 V. 기구ㆍ단체별 활동과 특성
  1. 연방의회
  2. 연방외무성
  3. 연방부처
  4. 주 정부
  5. 기초단체
  6. 중개단체
  7. NGO
  8. 각종 재단
  9. 국제기구
 VI. 문화외교의 예산구조
 VII.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박병석 Byeong-Seog Park. 고려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