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제17대 대통령 선거기간에 미디어 신뢰도와 정치행태에 관한 연구 -정치 신뢰도, 부정주의, 정치 정보효능감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A Study of Media Credibility and Political Behavior in 2007 Presidential Election -With a Focus on the Political Trust, Negativism, Political Information Efficacy

박상호, 송종길, 고삼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s about the research on media credibility and political behavior of the voters seen during the 17th presidential election. The studies concerning on this issues which are media credibility and political behavior have not been done much in Korea. By research finding first, evaluation of media credibility of news media terrestrial broadcast, newspaper, cable TV, Internet appeared in order to evaluate. Next, each media credibility and the political trust, negative attention, the correlation between political information efficacy analysis, the only terrestrial broadcasts an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olitical trust. Political information efficacy and newspapers, terrestrial broadcasting, cable television, Internet, and a positive correlation were found. As a third each media credibility effect voting behavior on the regression analysis, Newspaper credibility was expose that affect positive voting behavior, and internet is found a negative effect. Finally, political trust, negativism, political efficacy information regarding the effect on the voting behavior regression analysis, and only political information efficacy gave a positive effect on voting behavior. Newspapers and terrestrial broadcast news media representatives after the era of cable television and the Internet era the news media are represented. Information leading to the elections, the media or media credibility and the newspaper is still the old word for terrestrial broadcasting media has become. Campaign period leading to the news media(media credibility), yet the old newspapers and terrestrial broadcast media is.

한국어

본 연구는 제17대 대통령 선거기간 중에 미디어 신뢰도와 유권자의 정치행태에 관한 연구이다. 아직까지 우리나라에서는 미디어 신뢰도와 유권자의 정치행태에 관한 연구가 많지 않다. 분석결과, 우선 매체별 신뢰도에 대한 유권자의 평가는 지상파방송, 신문, 케이블방송, 인터넷 순으로 신뢰도평가가 나타났다. 다음으로 매체별 미디어 신뢰도가 정치적 신뢰・부정주의・정치 정보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회귀분석결과, 신문 신뢰도의 경우 정치적 신뢰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부정주의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반대로 지상파방송 신뢰도의 경우는 정치적 신뢰도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부정주의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정치 정보효능감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넷 신뢰도의 경우 정치 정보효능감에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로 매체별 미디어 신뢰도가 투표행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회귀분석결과, 신문 신뢰도는 투표행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인터넷의 경우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정치적 신뢰・부정주의・정치 정보효능감이 투표행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회귀분석결과, 정치 정보효능감만이 투표행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문과 지상파방송이 뉴스미디어를 대표했던 시대를 지나서 케이블방송과 인터넷이 대표되는 뉴스미디어 시대가 도래했지만, 선거기간에 주요한 정보매체 또는 미디어 신뢰도는 아직까지 올드미디어인 신문과 지상파방송이 자리매김하고 있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과 연구문제
  1. 미디어 신뢰도
  2. 정치적 신뢰, 부정주의, 정치 정보효능감과 투표행위
 Ⅲ. 연구방법
  1. 조사설계와 표본구성
  2. 조작적 정의와 분석방법
 Ⅳ. 분석결과
  1. 미디어 신뢰도에 관한 분석
  2. 투표행위에 관한 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박상호 Sang-Ho Park. 한국방송협회
  • 송종길 Jong-Gil Song. 경기대학교
  • 고삼석 Sam-Seok Go. 중앙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