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국적 색채 특성 분석에 따른 트렌드 색채기획

원문정보

The Trend Color Planning on Analysis of Characteristic of Korean Color

백민영, 김유경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nalyzes a broad range of colors based on the Natural Color System (NCS) - selected from 120 colors found in the Korean traditional clothing, hanbok, from Chosun dynasty, another 120 from Lee Sang Bong and Lee Young Hee’s collections, who are two Korean designers with traditional influences, and another 497 colors that have been chosen by local fashion agencies: Samsung Design Net and Inter Fashion Planning - in order to create a color palette to be utilized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merchandises as well as in the planning of trend colors for the 2011. The findings of study are as follows: First, during Chosun dynasty, Y series was used most frequently, followed by R, B, N and G. As for men’s clothing, Y series appeared most frequently whereas R series was most frequently used in the women’s. This indicates some color preferences by gender. Second, among the colors used in Lee Sang Bong and Lee Young Hee’s collections, Lee Sang Bong has used B series the most, followed by N, R, Y, and G. In Lee Young Hee's collection, R series has appeared most frequently, followed by B, Y, N, and G, which in fact is the same order as Chosun dynasty’s womens’ clothes except for B and Y series. There is a rather loose correlation between the colors from Lee Sang Bong's collection and those of Chosun dynasty in terms of the order of frequency. Thir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rend color for the past three years by agencies, the order of frequency turns out to be R, Y, B and G for the S/S season, and R, B Y G, and N for the F/W season. Incorporating the traditional Korean color schemes with the contemporary trend colors proposes the Universal Korean color palette, a new way of promoting Korean culture.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조선시대 복식 120점, 한국적 디자인요소를 지닌 국내 디자이너 2인 이상봉, 이영희 컬렉션에서 각각 120점씩, 국내 대표적인 패션정보기획사 삼성디자인넷과 인터패션플래닝의 트렌드 색채 497색상을 대상으로 색채 경향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그 특징을 제시하고 이를 기반으로 미래의 한국적 이미지 상품개발에 색상 정보로 활용 가능한 색채 범위를 색채 팔레트로 제안하여 한국적 색채특성을 반영한 2011년 트렌드 색채기획을 수립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색채분석은 표준화된 색채 전달 도구인 자연색체계(Natural Color System)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선시대 복식의 분석결과 색채 활용빈도는 Y계열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R계열, B계열, N계열, G계열 순으로 나타났다. 남성복식의 경우 Y계열이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냈고, 여성복식의 경우는 R계열이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내어 남녀복식에 있어서 색채 활용의 빈도 차이가 존재했다. 둘째, 한국적인 디자인요소를 지닌 디자이너 2인의 색채특성은 이상봉의 컬렉션 색채 활용 빈도는 B계열이 가장 높았으며, N계열, R계열, Y계열, G계열 순이었다. 이영희의 컬렉션 색채 활용 빈도는 R계열이 가장 높았고, B계열, Y계열, N계열, G계열 순이었고, 이영희 컬렉션은 B계열과 Y계열의 순위를 제외한 나머지 색채의 빈도 순위는 조선시대 여성복식의 색채빈도와 동일하게 나타나 한국적인 색채와의 연관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상봉의 컬렉션에 나타난 색채특성은 그 연관성이 미미하였다. 셋째, 최근 3년간의 국내 패션정보기획사 삼성디자인넷과 인터패션플래닝의 트렌드 컬러 분석결과 S/S시즌은 R계열, Y계열, B계열,G계열 순이며, F/W시즌은 R계열, B계열, Y계열, G계열 N계열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분석적 방법에 의해 도출된 트렌드 색채의 자료를 기본색으로 설정하고, 조선시대 복식에 나타난 한국적인 색채를 새롭게 제시하여 한국의 전통성과 현대의 트렌드 감성이 어우러진 Universal Korea라는 새로운 테마에 부합하는 실용적인 색채 팔레트를 제시하였다.

목차

요약
 I. 서론
  1. 연구의 목적과 의의
  2. 연구방법 및 절차
 II. 이론적 배경
  1. 색의 체계
  2. 한국전통 색채
  3. 패션 트렌드 색채
  4. 디지털 색채
 III. 색채분석 및 색채기획
  1. 조선시대 복식에 나타난 색채분석
  2. 이상봉⋅이영희 컬렉션에 나타난 색채분석
  3. 트렌드 색채분석
  4. 트렌드 색채기획
 I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백민영 Baek, Min Young. 대구가톨릭대학교 패션산업학과 석사과정
  • 김유경 Kim, Yu Kyung. 대구가톨릭대학교 패션산업학과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