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대학생들의 스토킹 피해에 있어 성별과 위험한 생활 행태(Risky Lifestyle)의 영향력연구

원문정보

A study of effect of gender and risky lifestyle on stalking victimization among college students

박미랑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Unlike western societies which have passed the anti-stalking law to protect a victim of stalking, there is little recognition on stalking behavior and victimization among the public in Korea. As several cases of stalking victimization against celebrities were revealed, fortunately, the recognition on stalking victimization has been changed. That is, the public became to know about the risk and seriousness of physical and psychological victimization of stalking. However, it lacks empirical research on stalking behavior or stalking victimization. A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the current status of stalking victimization among college students who is on the stage to broaden their human relationship, and to find the criminological factors which can explain the stalking victimization.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will explore the gender difference on the stalking victimization, and test the criminological theories such as routine activity theory, self-control theory,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theory as a part of social learning theory to explain the stalking victimization. A total 1390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on the survey, and a convenienced sampling method was selected. The dependent variable, stalking victimization, was measured using the Revised Conflict Tactic Scale-2. The independent variables used in the study were an experience of violence in the family (witness of father's violence against mother, experience of child abuse, experience of violence on the form of discipline), self-control, risky lifestyle(drinking behavior, smoking behavior, and risky sexual behavior). According to the result, unlike initial expectation, male students were more likely to be victimized than female student. Also, the students who smokes tobacco are more likely to be a victim of stalking than others. The factor of self-control, learning process of violence in the family were not significant to predict the victimization of stalking. Implication of research and policy will be discussed in the paper.

한국어

스토킹 관련 법안을 통과시켜 스토킹 피해자들을 보호하고 있는 미국과 달리, 한국내에서 최근 미디어를 통해 연예인의 스토킹 피해사례가 보도되면서 스토킹에 대한 대중의 인식이 변화하고 있지만 학자들에 의해 이루어지는 스토킹 피해자의 심리적 육체적 폐해 및 스토킹 행위의 위험성에 관한연구는 여전히 미흡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인간관계의 폭이 본격적으로 넓어지기 시작하는 대학생들이 겪고 있는 스토킹 피해에 관한 현황을 보고하고, 스토킹의 피해를 설명할 수 있는 요인을 범죄학적 이론을 통하여 살펴보는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연구는 스토킹 피해에 있어서 성별차이를 조사하고 일상생활 이론, 자아조절이론, 그리고 사회학습이론의 폭력의 학습과 관련한 폭력의 세대전승이론을 이용하여 스토킹 피해를 설명하려한다. 이러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미국 NVAWS 의 스토킹 측정방법인 갈등책략 척도(Conflict Tactics Scale-2: CTS-2)를 수정하여 수도권 대학교에 재학 중인 1390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종속변수는 스토킹 피해이고, 가정내 폭력의 학습(아동학대, 아버지 폭력의 목격, 훈육의 형태로 폭력의 경험), 자아조절, 위험한 생활패턴 (Risky Lifestyle)이 주요 독립변인으로 사용되었다. 결과에 따르면, 여성에 비해 남학생이 스토킹 피해를 보고한 건수가 더욱 많았고 위험한 생활패턴의 한 부분으로서 흡연습관을 가진 학생이 비흡연학생에 비해 스토킹 피해를 입을 가능성이 높다. 가정내 폭력의 목격과 경험, 자아조절능력은 스토킹 피해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결과에 기반하여 본문에서 연구의 함의와 정책적 함의를 더욱 논의하도록 한다.

목차

국문초록
 I. 서론
 II. 문헌연구
 III. 방법론
 IV. 결과분석
 V.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박미랑 Park, Mi Rang. 한국형사정책연구원, 부연구위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