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一般論文

사랑채가 있는 풍경 - 조선 후기 서재문화와 서재의 시각화

원문정보

Landscape with SarangChae - Library Culture of the Late Joseon Dynasty and Its Visualization

송희경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 library in the Joseon dynasty was a study room composed mainly of SarangChae Korean traditional house used as study and parlor, which was known as a space for men, and at the same time a case for keeping personal collections such as antiques, paintings, and writings of aristocratic gentlemen. Libraries with these functions and their subsequent culture were established by them in the era of the Northern Song dynasty and passed on to Ming dynasty which pursued a taste for collecting rare and precious antiques and gave an influence to the tendency to import, exhibit, and value old vessels or objects made of copper and stationery items, which were very popular in the eighteenth century Joseon period. As such, little items of libraries collected based on advanced knowledge and information were considered to be a kind of highly attached companion by their owners and were personified as gosa (高士) who intelligent people of the time respected and were visualized as a space of Ahoi'-do’(Elegant assembly Paintings) with both practical and allegorical traits or sometimes as a solitary den of the gageoin 家居人 a recluse who is stuck in his house after quitting his high ranked office. The depiction of a solitary den of intelligent recluse reached to the exclusion of figures only including internal ornamental items along with a description of antiques and the stationeries of an old architecture. In addition, GiMyeongJeolJiHwa, 器皿折枝畵 a painting of a variety of vessels, flower branches, fruits, and others or ChaekGado 冊架圖 a still painting mainly of stationeries like books, ink, inkstones, brushes, etc. and common items used in a room like vases, kettles, clocks, etc , that appeared beginning inthe nineteenth century was an alternative to the purchase of antique items and a useful way to cover demands and at the same time a snapshot of exhibiting the widely-prevalent desire of luxurious taste. As such, the landscapes with libraries which were visualized with the help of collecting trends, widespread since the eighteenth century, play a role as proof that the status of libraries changed from an object for appreciation and appraisal as one of CheongWanRyu 淸玩類 valuable objects such as paintings, potted plants, and others which high ranked officials appreciated and enjoyed, including stationeries and antiques to that of intellectual exploration, thus being progressed to the study of antiques.

한국어

조선 후기에는 문인들이 한양이나 그 근교에 마련한 정원이나 서재에서 향을 피우고 차를 마시면서 시문, 서화와 음악을 즐기고 서책, 분재, 수석 등을 감상하는 것이 크게 유행하였다. 이에 독서와 집필의 공간이었던 서재는 고동기물과 문방청완류를 수집, 보관하는 고동서화각이자 친한 벗과 축적된 지식을 공유하는 지적 공간이었다. 서재와 그 문화는 북송 시기 문인 사대부에 의해 정착되어 명물학(名物學)적 생활 패턴을 지향했던 명대에 계승되었고, 18세기 조선에 성행된 고동기물과 문방청완류의 수입, 전시, 품평 취미에 큰 영향을 끼쳤다. 서재 내부를 장식한 소도구들은 주인의 애틋한 벗으로 간주되어, 후기 지식인이 존경하는 고사(高士)로 의인화되었다. 또한 실용성과 우의성을 간직한 채 아회의 장소로 혹은 가거인(家居人)의 독락처(獨樂處)로 시각화되었다. 특히 고가의 고동기물, 문방청완류가 묘사된 지식인의 독락처는 인물이 배제된 채 내부 장식품만으로 연출되었다. 이런 관점에서 볼 때, 19세기 이후 유행하는 기명절지화나 책가도는 문인들의 고동기물 구매와 수요 충족의 대안이며, 호사 취미에 대한 과시 욕구의 한 단면이었다. 사랑채를 장식한 소도구는 문인이 추구한 아취의 표상이지만, 나아가 당시의 사치 풍조를 증명하는 도시 문화의 산물이자, 18세기 문인 사회에서 급속도로 확산된 박물학적 취향의 징후이기도 하다. 조선 후기 서재문화와 그 시각화 과정을 통하여 18세기 이후 더욱 확산되는 문인문화의 한 단면을 파악할 수 있으며, 기물을 분석하는 감식안의 전환과 다양화된 지식의 축적 양상을 발견할 수 있다.

목차

논문요약
 Ⅰ. 머리말
 Ⅱ. 조선 후기에 확산된 서재문화
  1. 書室에서 古董文房閣으로
  2. 우의의 대상, 문인의 벗
 Ⅲ. 조선 후기 서재의 시각화
  1. 아회와 유상의 공간
  2. 閑居의 獨樂處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송희경 Song Hee-kyeong. 이화여자대학교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