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企劃論文:『논어』의 종합적 조명(Ⅱ)

다산 정약용의『논어』해석(1) : : 性개념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Dasan's interpretation of Confucian analects (I)

다산 정약용의『논어』해석(1) : : 성개념을 중심으로

임헌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Confucian analects {論語}'s key concept is jen(仁). Confucius's concept of human path is realization of humanness. Confucius reestablished jen as universal Virtue. Therefore, confucius said, "If a man bo the virtue(德) proper to humanity, what has to do with the rites of propriety(禮) and music(樂)?". Confucian's human relationship is none other than conscientiousness and altruism(恕). Dasan(1762-1836)) also uphold Jen as maim theme of Confucius Analects, and Seo(恕) as a practical methodology of jen. Dasan redefined jen as 35times at his commentary of Confucian analects. Dasan interpreted that Jen ie idea of love achieved only by human beings's own endeavour. But the concept of Jen is based upon human mind-nature(人性). Dasan reinterpreted human mind-nature only as the changeable aspect(用) of the mind(嗜好), but not the unchangeable aspect of mind(心之體). The human mind-nature is not of concept of an innate idea, but what is created by human being's everlasting efforts.

한국어

茶山은 유가의 修己治人의 정신에 입각하여 총232권의 經學관련 저술을 하고, 경학에 입각한 經世論을 제시하였다. 經學 가운데 그는 四書를 중시하여 “四書는 우리 도의 나침반이다.”고 말하고, 四書 중에도 유독 {논어}를 중시하여, “육경이나 여러 성현의 글은 모두 읽어야 하겠지만 오직 {논어}만은 성스럽고 어떠한 하자도 없기 때문에 종신토록 읽음직하다”고 주장한다. 그래서 그는 당시까지 {논어}해석에 나무나 많은 의문이 해결되지 않은 채로 남아 있다고 판단하여, {집해}나 {집주}의 사례를 따라 천고의 중요한 주를 융해, 종합하여 {논어고금주}를 완성하였다. 다산은 {논어}가 ‘下學而上達’을 표방하는데, 이는 仁과 聖의 관계로 환원된다고 말한다. 그리고 聖이란 인륜 속에서 仁을 실천함으로써 도달하는 것이며(“仁은 논어 전체의 주재이다”), 仁의 실천은 곧 恕를 수단으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仁개념은 性개념을 前提로 외적으로 실현되는 것이라고 다산은 주장하고 있기 때문에, 이 글은 우선 다산의 性개념만을 다루었다. 다산은 性개념에 주체의 능동적 실천이라는 관점에서 접근한다. 그래서 그는 상지와 하우의 不移를 ‘천부적 자질 때문에 수동적으로 옮겨지지 않는 것이 아니라, 그 자신이 능동적으로 ‘기꺼이 옮겨가지 않는다(不肯移)’는 뜻으로 해석한다. 그리고 그는 性개념이 내적 실체로 오인되어 空寂에 빠질 것을 염려하여, 그 실체성을 박탈하고 性이란 本心의 嗜好일 따름이라고 주장한다. 그리고 그는 인간을 대체와 소체, 도심과 인심, 본심성과 형구성의 묘합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선천적인 自主의 權衡으로 양자의 대립적 모순을 인식하여 도덕적 행위를 할 수 있는 주체로 인간을 해석하였다. 나아가 그는 독자적인 性論으로 그 이전의 다양한 유가의 性에 대한 입론들을 융해, 종합하였다.

목차

논문요약
 Ⅰ. 다산과 『논어』
 Ⅱ. 다산의 ‘性’개념 해석
  1. 性-習의 관계 및 不移에 대한 해석
  2. ‘性’개념의 정의
 Ⅲ. 다산의 性論에 대한 비평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임헌규 Heongyu Lim. 강남대학교 철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