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탈근대적 페미니즘 논의가 교육 정치에 주는 시사점 탐색

원문정보

A study on the educational implication of the postmodern feminism as an encounter of Gilles Deleuze's body politics with Elizabeth Grosz's corporeal feminism

김재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nature of a postmodern feminism as an encounter of ostmodernism with feminism, and to explore its educational implication. The study mainly deals with Gilles Deleuze's body politics and Elizabeth Grosz's corporeal feminism, both of which have been regarded as big theoretical streams investigating the problems of body/mind, male/female relations. The study is composed of three parts. Firstly, it examines Gilles Deleuze's body
politics through his well-known concepts, the body without organs and becoming-woman, because Gilles Deleuze can be regarded as a prominent postmodern philosopher dealing with the binary relations of body/mind, male/female, and so on. Secondly, it also analyzes Elizabeth Grosz's corporeal feminism, which directly deals with the binary opposition of body/mind, male/female. In the analysis, the study focuses on the question of how the binary oppositions such as body/mind and male/female could be understood, and whether the opposition could be abolished meaningfully. Thirdly, the implication of the postmodern feminism as an encounter of
Gilles Deleuze's body politics with Elizabeth Grosz's corporeal feminism for both education and schooling in our society would be explored.

한국어

이 글은 탈근대성과 페미니즘이 조우하여 형성된 것으로 해석될 수 있는 탈근대적 페미니즘 논의의 주요 내용을 분석하고, 이러한 논의가 교육 정치에 주는 시사점을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이 구에서는 마음과 몸, 남성과 여성의 경계 문제를 비교적 심층적으로 다룬 것으로 간주되는 탈근 론자인 Deleuze와 페미니스트인 Grosz의 이론을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하였다. 이 연구는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째, 마음과 몸, 남성과 여성의 경계 문제와 관련하여 탈근대적 사유의 대표자격인 Deleuze의 몸 정치학을 ‘기관 없는 몸’과 ‘여성-되기’를 통해 살펴보고, 둘째, 마음과 몸, 성과 여성의 경계 문제를 주된 이슈로 다루는 Grosz의 육체 페미니즘의 논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Deleuze와 Grosz의 논의를 분석하면서 마음과 몸의 관계, 남성과 여성의 관계가 어떻게 해체되거나 유지될 수 있는가에 초점을 맞추었다. 셋째, Deleuze의 탈근대적 논의와 Grosz의 육체 페미니즘 논의의 조우로 형성된 탈근대적 페미니즘 논의가 교육 정치에 주는 시사점이 무엇인지를 탐색하였다.

목차

요약
 I. 글을 시작하며
 II. 탈근대적 담론으로서 Deleuze의 몸 정치학
  1. Deleuze의 몸 정치학: ‘기관 없는 몸’과 ‘여성-되기’
  2. 페미니즘의 Deleuze 비판: 투쟁과 변혁의 주체 상실
  3. Deleuze와 페미니즘의 화해 가능성 탐색
 III. 페미니즘 담론으로서 Grosz의 육체 페미니즘
  1. Grosz의 육체 페미니즘 등장의 역사
  2. Grosz의 육체 페미니즘의 이분법 해체: 마음과 몸의 관계
  3. Grosz의 육체 페미니즘과 성차의 가능성과 한계
 IV. 탈근대적 페미니즘이 교육 정치에 주는 함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재춘 Chae-chun Gim. 영남대학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