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에코디자인을 도입한 테이크아웃용 종이컵의 디자인 효율성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Usefulness of Take-Out Paper Cup Considering Eco-Design

용진경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Nowadays, interests in ecological or environmentally-friendly design, high focus on recycle and renewal of the products, increase in a variety of industry fields in the globe. The survey on the objects polled by so-called in Korea ‘2040 generations(from the age of twenties to forties) in this thesis shows that they associate the word ‘environmentally-friendly’ with ‘clean’, ‘clear’, ‘green’,'fresh’, 'pure’ and ‘realistic’ Based on the poll, we have analyzed eleven different brands of paper cup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co” was written on all the cups as a compound word, mostly green was used as a main color tone of the brand image or only green was used and they illustrated their brands by simplifying shapes of trees or leaves mostly, more than 90% in the case. Second, They also illustrated surface designs by printing shapes of trees, leaves or geometric patterns. They used green color as a main tone with brown as a supportive color. Third, We could recognized that normal paper cups and environmentally-friendly paper cups were classified by methods of raw material, printing and their following treatments. Means, environmentally-friendly products which adopted bean oil ink, water borne coating or PLA coating are restraining the emission of volatile organic chemical material which contaminate environment. However, emotional images of the environmental paper cups were not much different each other but ‘Clear’ and ‘Pure’ were most highly analyzed. Fourth, Customers rarely recognized well whether or not food containers are environmentally-friendly when they take out instead, when they buy foods, they consider menu and price of foods as the most important priority while brands and material inside as the second priority. In summary, most importantly, top priorities concerning environmentally- friendly paper cups ought to be placed on ‘brand name recognition’ which accordingly results from technical development and design improvement, considering the fact that most brands of environmentally-friendly paper cups are produced under license agreements on technical transfer and material imported abroad at present.

한국어

오늘날 전 세계적으로 각 분야에서는 재생과 재활용이 강조된 에코디자인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현대는 여성의 사회진출과 함께 딩크족이나 싱글 족이 늘면서 즉석식품 및 테이크아웃 식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식생활의 변화로 편의성과 간편성을 추구하는 테이크아웃 문화가 활성화 되었다. 이런 브랜드 경쟁 속에서 에코디자인은 차별화 뿐 만 아니라 소비자의 구매의욕을 유발시키기 위한 요소로 전략적 패키지 디자인 개발의 필수조건이 되고 있다. 본 연구는 테이크아웃용 식품용기 중 뜨거운 음료용 종이컵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친환경에 대한 연상이미지에 대한 조사결과는 ‘깨끗하다’ ,‘맑다’, ‘푸르다’, ‘신선하다‘, ’순수하다‘, ‘심플하다’, ‘사실적이다’라고 인식, 감성적 이미지로는 맑고 순수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첫째, 친환경 종이컵 브랜드네임에는 ‘Eco’라는 단어가 75%이상 합성어로 사용되고, 브랜드이미지 칼라는 주조색상으로 그린색상과 보조색상으로는 브라운 색상을 사용했다. 표면디자인에서는 나무나 나뭇잎을 단순화시켜 표현했다. 둘째, 원재료 및 인쇄방법과 후처리방법에 따라 일반종이컵과 친환경종이컵으로 구분되어졌다. 셋째, 친환경 종이컵의 형태는 기능에 따라 일반 컵 형태와 슬리브가 필요 없는 이중 컵 그리고 손잡이가 달려 있는 등 5가지 형태로 분석되었다. 넷째, 가장 많이 사용하는 커피포장용기에 대한 친환경용기 여부에 대한 인식은 부족했고, 브랜드와 포장용기의 재질을 중요하게 생각했다. 결과적으로, 국내의 친환경종이컵 브랜드의 대부분이 해외 기술 및 원재료를 도입하여 국내 제품으로 생산되는 것으로 국내 기술개발 및 디자인개발을 활성화시키고 친환경종이컵에 대한 브랜드인지도를 높여야 하는 것이 우선적인 고려사항이므로, 친환경종이컵 디자인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적극적으로 친환경디자인을 노출시키고, 소비자에게 친환경제품의 정확한 커뮤니케이션과 판매, 재 구매에 이르기까지의 친환경종이컵 브랜드 구축을 위해 적극적인 연구와 활용이 필요하다 하겠다.

목차

초록
 Abstract
 1.서론
  1.1.연구의 목적
  1.2.연구의 범위 및 방법
 2.현대사회 친환경과 에코디자인의 고찰
  2.1.현대사회의 친환경 현황
  2.2.사회현상과 에코디자인의 관계성 탐색
  2.3.에코디자인과 테이크아웃 식품포장과의 관계
 3.테이크아웃 종이컵의 개념
  3.1.테이크아웃 친환경 종이컵 현황과 특성
  3.2.테이크아웃 친환경 종이컵 형태분석
 4.친환경 종이컵 디자인 사례분석
  4.1.국내·외 친환경 종이컵 브랜드 사례분석
  4.2.국내·외 친환경 종이컵 디자인 분석
 5.소비자 설문 조사에 의한 실증연구
  5.1.가설 설정
  5.2.자료 분석 및 가설 검증
 6.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용진경 Yong,JinKyung. (주)아트루스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