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공공공간의 가구디자인에 대한 기호학적 분석 - 거리쓰레기통에 대한 관리자와 보행자의 관계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A Study of Street-furniture in public space by semiologie method - Analysis of street-wastebasket based on relation of administrator and pedestrian

김영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Public space is interface phenomenon based on mutual communication structure. That is not made by government or designer, citizen. That is systemed by their relation. Street furniture in the public space has to be designed with mutual communication structure. In the case of street -wastebasket, the shape depends on the processing of trash disposal that define from space what is established. And the space is changed by relation between administrator and pedestrian in that space form. Finally, wastebasket can not do the function if it establishes and uses based on one-side communication system. This sturdy is used by semiologie analysis method. Examined structure of administrator and pedestrian that around with wastebasket in public space. Through this, I make a proposal to design of public structure that it is designed after consideration of administrator and pedestrian structure in public space.

한국어

공공공간은 상호커뮤니케이션구조를 기반으로 형성되는 인터페이스 현상이다. 즉 정부나 디자이너, 시민 한 편에 의해서 만들어지는 공간이 아니라, 이들의 관계를 기반으로 만들어지는 것이다. 때문에 공공공간에 설치되는 거리가구는 그 공공공간의 커뮤니케이션구조를 바탕으로 디자인되어야 한다. 거리 쓰레기통의 경우, 그 모양은 설치된 공간에서 정의하는 쓰레기의 종류와 처리방식에 따라 달라지며, 그 공간은 그 공간의 관리자와 보행자가 형성하는 관계에 의해 달라진다. 결국 어느 한 편이 일방적으로 설치하고 사용한다면 쓰레기통은 그 기능을 할 수 없게 된다. 본 논문은 기호학적 분석방법을 소개한 후 이를 이용하여 공공공간에서 쓰레기통의 형태가 관리자와 보행자의 관계구조 속에서 만들어지고 있음을 밝히고, 이러한 관계구조에 대한 연구가 선행된 후에 공공공간의 거리가구에 대한 디자인이 진행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목차

논문요약
 Abstract
 1. 서론
 2. 공공공간의 구조와 분석방법
  2.1. 공공공간의 커뮤니케이션 구조
  2.2. 공공커뮤니케이션구조의 기호학적 분석방법
 3. 공공공간의 위생가구 디자인
  3.1. 거리 쓰레기통의 형태 분석
  3.2. 관리자와 사용자의 행위와 관계 분석
 4.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영찬 Kim Young-Chan. 한양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