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論文

번스(Arthur C. Bunce)의 내한활동과 한국문제인식

원문정보

Bunce’s Activities and His View on Korean Matters

황윤희

숭실사학회 숭실사학 제23집 2009.12 pp.147-203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rthur. C. Bunce was dispatched to support YMCA agricultural activity in 1928 and executed the Korea support plan as USA army's political and economic adviser and a leader of ECA(Economic Cooperation Administration) during the early period of Lee Seungman after 1945. He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understanding the US army's military occupation policy and a support problem of Lee Seungman's period. This study was intended to examine the historical situation, his recognition on Korean problems, and a background of his political evaluation stressed in the existing studies through the activity of Arthur. C. Bunce.
Being dispatched as a secretary of agriculture under the Canada’s allied mission association in 1928, Bunce developed and spread the farming method suitable for the region’s geographic features while doing the agricultural activity in Gwanbuk area, Canada's traditional missionary area, and he successfully led the cooperative movement. But, Bunce was forcibly exiled from Korea owing to Japan’s missionary oppression in 1934, and then he acquired a master and Ph.D degree in agricultural economics at University of Wisconsin USA. After that, he worked as the East Asia expert in the international office of the Federal Reserve Board (FRB). While working at the Institute of Pacific Relations, he predicted Korea’s complicated political and economic situation which would be faced after a liberation, and presented many plans to solve it. First, he stressed that the problem of Korea should be solved through the related powerful countries’ international cooperation. Also, he presented the consecutive program stating that the government-general should be alternated by the international committee of China, U.S.S.R, USA and Britain, the representative national Korean council should be organized, and a president should be elected instead of the governor-general and the National Assembly should be organized. Secondly, as the important economic problems, he suggested 1) a production resources’ possession and control problem, 2) a land possession system for improving the productivity and removing the farming village’s poverty and the problem of tax imposition about the land possession, 3) Handling problem of investment capital owned by Japanese, and the problem of money and finance system, 4) the problem of trade policy, employment and industrial development, and 5) the problem of order maintenance.
Bunce considered especially the problem of Korea’s land reform. Bunce revisited Korea as the economic adviser of John R. Hodge, a commander of the United States Army Military Government in February 1946 and made the Bunce plan called ‘the Japanese vested agricultural land disposition plan’, which was one of the US military government’s land reform policies. As the major contents of the Bunce plan, the farming land was disposed from farmers who didn’t own the land. Secondly, the principle was a redemption by installment with 1/3 spot for 15 years. Thirdly, the land ownership and the land sale right was granted. Fourthly, it was intended to guarantee the constant production through the land preservation by instituting the land’s preservation and maintenance. Fifthly, he suggested an establishment of farming land committee in each province, city, county to execute such the vested farming land disposition plan. These contents were meaningful in arranging the basic foundation of the US land reform plan. This was the plan for involving more than 70% of the whole population in the system as a campaign of responding to a rapid land reform of North Korea’s free confiscation and free distribution. Bunce’s plan about the land problem was contained in the land reform act whose major contents were the sale diminishing and charged distribution as the land reform plan of the US military government and the interim legislative assembly was compromised.

한국어

번스(Arthur C. Bunce)는 1928년 YMCA 농촌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파송되어 1945년 이후 미군정의 정치ㆍ경제 고문 그리고 이승만 정권기 ECA(Economic Cooperation Administration) 駐韓 사절단장으로서 대한원조계획을 진행했던 주요 인물로 미군정기 점령 정책과 초기 이승만 정권기 원조 문제를 이해하는 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본 연구는 번스(Arthur C. Bunce)의 활동을 통해 당시의 시대적 상황과 그의 한국문제 인식, 그리고 번스에 대한 기존 연구에서 주목한 정치적 평가의 배경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캐나다 연합 선교부 소속 농업간사로 1928년 파송되어 처음 한국을 방문한 번스는 캐나다 전통 선교 지역이었던 관북지방에서 농촌 활동을 하면서 그 지역의 지형에 맞는 농법을 개발ㆍ보급하고 협동조합운동을 성공적으로 이끌었다. 1934년 일제의 선교사 탄압으로 강제 출국된 후 미국 위스콘신 대학에서 농업경제학 전공으로 석ㆍ박사 학위를 취득하였고, 이후 미연방준비제도 국제부에서 동아시아전문가로 활동하였다. 그는 ‘태평양문제연구소(The Institute of Pacific Relations)’에서 활동 하면서 해방 후 한국에 직면하게 될 복잡한 정치ㆍ경제적 상황을 예견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안을 제시하였다. 우선, 한국문제의 처리는 관련 강대국들의 국제적 협력을 통해서 해결되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그리고 종전 직후 총독부는 중ㆍ소ㆍ미ㆍ영의 국제위원회로 대체하고 이에 의한 ‘한국대표국민회의(representative national Korean council)’을 구성하고, 여기에 총독 대신 대통령을 선출하고 국회를 구성하도록 해야 한다는 일련의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중요한 경제문제들로서 1) 생산자원의 소유ㆍ통제문제, 2) 생산성 향상 및 농촌 빈곤 제거를 위한 토지소유제도, 토지보유에 대한 조세 부과 문제, 3) 일본인 소유 투자자본의 처리문제, 화폐 및 금융체계 문제, 4) 무역정책, 고용 및 산업발전 문제, 5) 질서 유지 문제 등에 대한 정책을 제시했다.
특히 번스가 주목한 것은 한국의 토지개혁 문제였다. 번스는 1946년 2월 주한미점령군 사령관 하지(John R. Hodge)의 경제고문으로서 재방한 하여 미군정의 토지개혁정책의 하나였던 ‘귀속농지매각안’ 일명 ‘번스案’을 제시하였다. 번스案의 주요 내용은 첫째, 토지를 소유하지 않은 소규모 자작농을 대상으로 농지를 매각하며 둘째, 15년간 3분의 1의 현물로 분할 상환을 원칙으로 하며 셋째, 토지소유권과 함께 매매권도 부여하였다. 넷째, 토지의 보존ㆍ유지를 의무화 하여 토양 보존을 통한 지속적인 생산을 보장하고자 하였다. 다섯째, 이러한 귀속농지매각안을 시행하기 위해 각 도, 시, 읍 단위로 농지위원회 설치를 제안하였다. 이러한 내용들은 미군정의 토지개혁안의 기본적인 토대를 마련하였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이것은 북한의 무상몰수ㆍ무상분배의 조속한 토지개혁에 대응하는 자구책으로 전체 인구의 70% 이상을 차지하는 농민층을 체제내화 하기 위한 방편이기도 하였다. 이러한 토지문제에 대한 번스의 구상은 미군정과 과도입법의원의 토지개혁안이 절충되어 채감매상ㆍ유상분배를 주요 골자로 하는 토지개혁법안에 담겨있었다.

목차

I. 머리말
 II. 일제시기 활동과 한국문제인식
  1. YMCA농촌활동
  2. 위스콘신 학파로서의 학문적 배경
 III. 미군정기 번스의 귀속농지 매각 계획(번스안)
  1. 번스안 구상의 배경
  2. '구일본인소유농지매각안'의 내용과 제안 과정
  3. 중간파와의 논의과정
 IV.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황윤희 Hwang, Yun-Hee. 이화여대 사학과 박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11,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