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論文

고구려에 대한 중국 정사의 이중인식문제 연구 - 남북조시대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Chinese chronicle’s double recognition toward Goguryeo - With special reference to Nan-Bei-chao age -

李貞子

숭실사학회 숭실사학 제23집 2009.12 pp.5-39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making a relation between Goguryeo and Jungwon (Central district) dynasty, Korean & Chinese academic world have suggested different opinion respectively. In this treatise, I examined an underlying difference of two countries' recognition with special reference to Chinese chronicle and historical data. In old Chinese history book written on Sinocentrism, there are so many justifications and perspectives manipulated by the contemporary world-view consequently apparent gap between notion and historical fact must have been followed. The gap leads to double recognition of the fact, accordingly the recognition reflected in historical data may give some impact on the historical understanding of the following age. It is same in relation between Goguryeo and Nan-Bei-chao age. Here a typical recognition that understands tribute-installation of the Crown Princess as subordinating servitude is acting a role. Such recognition is not all about it. Some articles seen in relation between Goguryeo and Nan-Bei-chao age are also suggested on this same foundation.
In Korean academic circle, albeit there are some plausible examinations and criticisms about relation between tribute-installation of the Crown Princess, a specific research is not yet to be found. According to this paper that examined a relation between Goguryeo and Nan-Bei-chao age, it was found that such an argument was made of arbitrary edit and distortion on the historical fact. Going forward, it was found that historical data is being served as a double or discretional description on the hidden side of distorted history.
Double description of historical data is clearly appeared the most in diplomatic relation between Goguryeo and Nan-Bei-chao age. Comparing to other period, Nan-Bei-chao age has no military conflict to Goguryeo so that diplomatic relationship back then was obviously important. Chinese-based historiography like Pseudo-books & history books of Namje period in Yang State (502-557) described their own interpretation in depicting their relation to Goguryeo in which Goguryeo was represented as a subordinating servitude to China. In spite of this fact, Yang dynasty is recording as if Goguryeo never controlled its diplomatic relation and function to the counterpart. Nevertheless the forces with independent diplomacy never be perceived as a subordinating servitude relation, Chinese perspective is still describing such a self-contradictory argument.
I understood that main cause of such contradiction derived from either world view of Sinocentrism or conflict of traditional principle in historiography so called dictating from the real history not making a fiction. If someone tries to reconstruct a history with embellished content in manipulated notion, there distorted image of history probably will be reproduced accordingly. A fundamental motive of Chinese academic circle recently argues that the relation between Goguryeo and Jungwon (Central district) dynasty was an obviously subordinating servitude to China. But it seems to be absurdity without historical evidence. It might come from selective edit of all descriptions that were mostly either manipulated or distorted in double recognition by Sinocentrism regardless of evident historical facts.

한국어

고구려와 중원왕조 사이의 관계 설정에 있어서 한국과 중국의 학계는 상반된 의견을 제시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양국 학계의 인식 차이의 근본적 원인을 중국정사를 비롯한 사료에서 찾아보았다. 中華思想에 입각하여 서술된 중국 고대 사서에는 당시의 세계관과 관념 내지는 명분이 개입되어, 관념과 역사적 사실 사이에 괴리가 뚜렷하게 나타나기 때문이다. 관념과 사실의 괴리는 곧 사실에 대한 이중적 인식으로 연결되며, 사료에 반영된 이중적 인식이 후대의 역사 인식에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없게 된다.
고구려-남북조 관계 인식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다. 여기에는 조공-책봉관계를 신속관계로 파악하는 전형적인 인식이 한 몫을 하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인식이 전부는 아니다. 고구려-남북조 관계 기사에 나타나는 일부 기사도 그 근거로 제시되고 있는 것이다.
한국학계에서는 조공-책봉관계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내실 있는 검토와 비판이 되어 있지만, 구체적인 기사에 대한 검토는 별로 없는 실정이다. 본고에서 고구려-남북조 관계기사에 대해 검토한 결과, 그러한 주장은 사료의 자의적 편집과 왜곡 해석을 통해 만들어진 것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 나아가 그러한 왜곡 해석의 이면에는 사료 자체가 이중적 서술을 하고 있다는 요인이 작용하고 있음을 밝혔다.
사료의 이중적 서술은 고구려와 남북조 사이의 외교관계 기사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남북조시대에는 다른 시대에 비해 고구려와 군사적 충돌이 별로 없던 시기였기 때문에 외교관계가 중시되는 것은 당연하다고도 할 수 있다. 그런데 󰡔魏書󰡕와 󰡔南齊書󰡕 등 중국계 사서에는 고구려와의 관계를 묘사함에 있어서 각각 자신의 신속세력으로 간주하고 서술했다. 그러면서도 양쪽 왕조는 고구려가 상대 왕조와 외교관계를 맺는 행위를 전혀 통제하지 못했던 사실까지 기록하고 있다. 독자적인 외교관계를 가지고 있는 세력을 지방정권이나 신속관계로 인식할 수 없음이 자명한데도 이와 같이 모순된 서술을 하고 있는 것이다.
이렇게 모순된 서술이 나타나게 된 원인은 중화주의적 세계관에서 파생된 관념과, 동양의 전통적인 編史 원칙인 ‘述而不作의 원칙’이 충돌한 결과라고 보았다. 이와 같은 사료의 경향을 감안하지 않고 관념으로 윤색된 내용으로 역사를 복원하려 한다면 왜곡된 역사상의 재생산이 반복될 수밖에 없다. 최근 중국학계에서 고구려-중원왕조의 관계를 신속관계라고 주장하는 근본적 원인은 사료 자체가 이중적으로 서술되어 있음에도 사료에 나타난 실질적 사실을 무시해버린 채, 중화주의적 관념에 입각한 서술만 선택적으로 취합․편집해서 연구하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목차

I. 머리말
 II.  고구려-남북조 관계 인식에 대한 논의
 III. 외교관계기사를 통해본 고구려-남북조관계
  1. 『위서』에 보이는 위 세종의 국서
  2. 『남제서』의 외교관계 기사
 IV. 고구려-남북조 관계 인식의 모순과 사료의 이중정
 V.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李貞子 이정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원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