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논문

한국여성과 결혼이민여성의 효의식과 자기효능감에 관한 연구 - 영동 지역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A Study on the Hyo consciousness and self-efficiency of Korean women and Marriage immigrants women

정정애, 박영숙

한국효학회 효학연구 제10호 2009.12 pp.115-141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Hyo consciousness and self-efficiency who are Korean women and marriage immigrants women. I analyzed that how korean's Hyo consciousness different through Korean women and marriage immigrants women. And we consider the relationships between Hyo consciousness and self-efficiency and analyze a influence between the factors. I wish to recover the Hyo consciousness in multicultural society and keep it that is suitable to today's and future society. Also we are looking forward to inspire the efficiency about themselves. This shows through the statistics that Korean women's Hyo consciousness is lower than the marriage immigrant's women. It means Korean's Hyo consciousness is threatened. So it is important to recover that consciousness. It is because if Korean women isn't became the model about the Hyo consciousness, it can be caused the serious problem of family in multicultural society. Consquently, we must prevent this problem and Korean women must model to Hyo consciousness. Then the marriage women will have Hyo consciousness and will preserve it and can be their life.

한국어

우리의 전통사상인 효의식을 회복하고 생활화하여 다문화사회에 뿌리내리고 자리매김하는 것은 우리가 마땅히 수행하여야 할 과제인데 다문화사회에서 여성들이 자신의 에너지와 역량을 충분히 발휘하고 스스로에 대한 성취감과 기대감이 충족될 수 있도록 자기효능감을 고양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도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여성과 결혼이민여성의 효의식과 자기효능감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앞으로 다문화시대에 우리의 소중한 전통생활양식인 효의식을 잘 보존하여 살아갈 수 있는 방법과 여성들의 자기자신에 대한 효능감을 고양시킬 수 있는 방법을 모색 하였다. 통계를 통해 한국여성들의 효의식은 결혼이민여성들의 효의식보다 낮은 수준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우리나라의 효의식이 위협을 받고 있음을 보여 주는 근거이므로 한국여성들의 효의식에 대한 회복은 시급하다고 판단된다. 이는 다문화사회에서 한국여성들이 효의식에 대한 모범을 보이지 못할 경우 현재 보다 더 심각한 가정의 문제가 우려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들을 예방하고 행복한 미래를 위해서는 우리의 아름답고 고유한 전통윤리인 효의식을 한국여성들이 모범을 보일 때 결혼이민여성들이 지니고 있는 효의식이 사라지지 않고 그들의 생활양식으로 자리매김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생활 수준이 향상되더라고 효의식이 높아질 수 있는 교육이 시급하다고 본다. 생활에서 자연스럽게 보여주는 교육과 연습 및 학습을 통한 효의식의 회복이 무엇보다도 절실히 요구되는 바이다. 또한 연구분석결과 결혼이민여성들의 자기효능감이 낮게 나온 결과는 이들의 성취감과 자신감 그리고 자신에 대한 기대감이 낮은 결과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결혼이민여성에 대한 관심과 지지가 요구되고 이들이 한국생활에 작 적응하여 자신감있는 여성으로서 가정생활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도록 적극적인 지지가 필요하다. 앞으로 다문화사회에서 우리의 소중한 생활양식인 효의식을 회복하고 현대사회와 미래사회에 걸맞는 효의 식을 잘 보존하여 살아가도록 하고 여성들이 자기자신에 대한 효능감을 고취시켜 건강하고 행복한 가정을 이루도록 힘써야 한다.

목차

<요약>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1. 효의식
  2. 자기효능감
 III. 연구방법
  1. 조사대상자
  2. 측정도구
  3. 분석방법
 IV. 연구결과 분석 및 해석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효의식
  3. 자기효능감
  4. 효의식과 자기효능감 간의 상관관계
  5. 효의식과 자기효능감의 영향 요인
 V. 결론 및 제언
  1. 결론
  2.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정정애 Jung, Jung-ae. 관동대학교
  • 박영숙 Park, Young-suk. 성산효대학원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