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논문

‘범교과 학습 내용’으로서의 ‘효 교육’의 위상과 과제 연구

원문정보

The Study of 'Hyo Education' as The General Subject Learning Contents

이성원

한국효학회 효학연구 제10호 2009.12 pp.1-27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School education is the most efficient and direct education procedure in all ones. In considering the position and vision of 'HYO education', it's important to examine the position of the HYO education in school education. With the study of 'Korea Instruction Course Evaluation(KICE)' in 2009. 9, this thesis discuss where current HYO education is ranked and how prospection and theme is expected. This thesis discuss HYO education as 'cross-curricularity education content' as follows. First, 'cross-curricularity' has a unique feather that previous subject has. Second, 'HYO education' belongs to 'HYO - Respecting the elders -traditional ethics'- in the Korea 7th revision education course. Third, 'HYO education' has another mission different from the previous subject. The way of studying this thing is followed. First, the feather of 'cross-curriculum' is explained. Second, the feather and limitation of HYO education is explained. Through researches, academic location of 'HYO -Respecting the elders -Traditional ethics' is elucidated. for those reasons, the current status of Hyo education is well shown. Also it will supply information on the most practical HYO education in school education. These thesis argue that HYO education is appropriate to 'cross-curriculum'. These thesis insist that philosophical foundation and developing textbook of HYO education is necessary. Until now, social science research of HYO education is in deficiency. This study will play an important role that makes up for that deficiency.

한국어

학교 교육은 다른 모든 교육과정(방법) 중에서 가장 효과적이고 직접적인 교육과정이다. 우리가 ‘효 교육’의 위치와 전망을 살펴볼 때는 이러한 학교 교육에서의 효 교육의 위상을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본 논문은 2009년 9월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의 연구발표인 ‘범교과 학습의 체계화 방안 탐색을 위한 세미나’의 자료를 중심으로 현재 ‘효 교육’이 학교 교육과정에서는 어떤 위치와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앞으로는 어떤 전망과 과제를 가지게 될 것인가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본 연구는 범교과 학습 내용으로서의 ‘효 교육’을 논의하면서 다음과 같은 특성에 주목하여 전개한다. 첫째, 범교과는 기존의 교과와는 다른 특성을 지니고 있다는 점, 둘째, 제7차 개정교육과정을 통해 ‘효 교육’은 ‘효도·경로·전통 윤리 교육’의 범주에 속한다는 점, 셋째, 범교과 학습 내용으로서의 ‘효 교육’은 기존의 ‘효 교육’과는 다른 특성과 과제를 가지고 있다는 점이 그것이다. 본문에서는 먼저 범교과 과정의 특성과 개념을 소개함으로써 범교과 학습 내용으로서의 ‘효 교육’이 가지는 특성과 한계점을 유추해내며, 제7차 개정교육과정의 내용을 통해 ‘효도·경로·전통 윤리 교육’의 특성과 현실적인 학제적 위치를 살펴보고, 이를 설문조사 자료를 통해 면밀히 검토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효 교육’은 매우 현실적인 ‘효 교육’의 현재 현황을 보여주며, 학교 교육 현장에서의 ‘효 교육’에 대한 가장 사실적인 정보를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본 논문은 최종적으로는 ‘효 교육’이 범교과 학습 내용으로서 충분한 위상을 가지고 있으며, 앞으로의 발전을 위해서 철학적 정초작업, 교재 개발 및 교육내용 정초작업 등이 필요함을 논의한다. 그동안 ‘효 교육’에 대한 사회과학적인 방법이나 현실적 현황에 대한 연구가 적었던 것에 대해 이번연구는 새로운 의미를 가져다 줄 것이며, 앞으로 이러한 연구의 지속적인 개발을 기대해 본다.

목차

<요약>
 I. 서론
 II. 범교과 학습 내용의 특성
  1. 범교과 학습의 특성
  2. 범교과 학습의 개념
 III. 제7차 개정교육과정의 범교과 학습 내용
 IV. 범교과 학습 내용에서 '효 교육'의 위상
 V. 범교과 학습 내용으로서 '효 교육'의 과제
 VI.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성원 Lee, Seong-won. 인천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