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一般論文

일본의 문인화개념과 요사부손(与謝蕪村)의 예술세계

원문정보

Literati Painting in Japan and Yosa Buson's Art

신나경

한국동양예술학회 동양예술 제14호 2009.11 pp.227-257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From the early eighteenth century on, literati in Japan followed the tenets of the Chinese literary men, producing paintings that were simplified and personally expressive or abstracted, sometimes to the point of appearing amateurish. Therefore the term "Lterati Painting" is originated from China, and it was mostly drawn by high ranking officials, the gentry who mastered advanced Confucian culture. Literati painting is also called Nanga (Southern) painting in Japan, which refers to the theories of the Chinese painter Dong Qi Chang (1555-1636). Dong divided Chinese artists of the past into Southern and Northern schools based on the character of Southern or Northern school Chan (禪) Buddhism. These two divisions came to mirror the methods of the scholar-amateur artist, who searched for profundity through direct self-expression, versus the professional artist, who strove to please a patron. But the Japanese feudal society was very much different from the feudal society in China and Korea, and the biggest difference can be found in the fact that the Chinese ruling class was Shi-da-fu (士大夫) whereas that the Japanese elite class was warriors centering around Shogun. Accordingly, strictly speaking, there was no literary man like Shi-da-fu of China in Japan, and Japanese literary men mostly meant those who adored Chinese literature. However, given that literary men in China were mostly intellectuals and that they experienced spiritual confusion while devoting themselves to Philosophical Taoism, some sort of literary spirit seemed to prevail in Japan as well. In this connection, this study is focused on examining Japanese literary men’s life and arts by taking a close look at Yosa Buson, the originator of Haiga(俳畵) who greatly contribute to establishing the Japanese literati painting. Like other literary painters in Japan, Yosa Buson was also immersed in studying Chinese paintings of the Southern School, a type of Chinese landscape painting, at first, but he gradually accepted Japanese classical painting styles broadening his artistic horizon. His paintings well expressed the reality of life without sacrificing refinement based on combination of traditional image and a sense of realism by drawing artistic effect of Haiku(俳句) in his paintings.

한국어

문인화란 본래 중국으로부터 전래된 용어로서, 고도의 유교적 교양을 지닌 고급관료, 즉 문인이 취미로서 그린 회화를 말한다. 그러나 같은 봉건사회라고 해도 중국의 봉건사회와 일본의 봉건사회 사이에는 커다란 차이가 있는데, 중국의 지배계층이 사대부였던 것에 반하여, 일본의 지배계층은 장군을 정점으로 하는 무사였다. 따라서 엄격한 잣대로 보면 중국에서 말하는 문인이 일본에서는 존재하지 않았다고 볼 수 있다. 중국에 있어서 문인들은 위정자였으며, 무엇보다도 지식계급이었고 대부분이 유교적 교양을 몸에 지닌 사람들로서 이상주의와 그에 따르는 좌절감을 가지고 있었다. 아울러 노장사상에 경도되어 정신적으로 방황하던 사람들이라는 점에서 본다면, 엄밀한 형태는 아니라 하더라도 문인정신의 전통은 일본에 있어서도 강하게 이어지고 있었다. 이 점은 주목할 필요가 있는데, 이러한 맥락에서 본고는 하이가(俳画)의 창시자이기도 한 요사부손을 살펴보고자 한다. 그를 통하여 일본 문인의 삶과 예술의 일면을 고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요사부손 역시 일본의 다른 문인화가들과 마찬가지로 처음에는 중국산수화의 한 양식인 남종화의 흡수에 열중했으나, 점차로 일본의 고전적 회화 스타일도 취하여 자신의 독자적인 양식을 발전시킨 화가이다. 그는 하이쿠의 정취를 회화에 끌어넣어 전통적인 이미지와 새로운 현실감을 잘 융화시켜, 격조를 떨어트리지 않으면서 실제 삶의 리얼리티를 잘 표현하고 있다.

목차

<논문요약>
 I. 서론
 II. 일본의 문인화
 III. 요사부손의 삶과 예술
  1. 부손의 생애
  2. 부손의 예술세계
  3. 독자적 양식의 수묵화
 V.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신나경 Shin, Na-Kyung. 부산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