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It is in Goryeosa ‘Akji’高麗史「樂志」 that the relative concepts of Jeongseong正聲 and Joongseong中聲 were mentioned for the first time in the history of Korean music. According to it, in the background of the rise of Jeongseoung and Joongseong there was Daeseong court music (Wiseongjinak魏漢津樂) in the Buksong Hwijong era. Originally, Jeongseong and Joongseong in the Daeseong court music were two different kinds of music or musical instrument with different pitch. Nevertheless, Jeongseong and Joongseong that have been discussed in the Daeseong court music have been examined as only a matter of a pitch extent by being dependent upon the numbers, 16 and 12, of Jong and gyeong (pyeonjong and pyeongyeong). So, in order to properly understand Jeongseong and Joongseong that appear in the history of Korean music, this researcher attempted to examine the original meaning of Jeongseong and Joongseong in the Daeseong court music in the Buksong Hwijong era. The research results confirmed that, as a means to apply Sugiyongyoolbeop隨氣用律法 in the Buksong Hwijong era, two kinds of music such as Jeongseong and Joongseong, in which the length of basic sound Hwangjong was 9 chon and 8.7 chon, respectively, coexisted. Equipped with Hwangjongyoolgwan of Jeongseong and Joongseong with two different pitch, two different kinds of the groups of musical instruments were prepared based on the respective Hwangjong basic sound and then they prepared for the harmony of the cosmic dual forces by using the Jeongseong instrument when Jeongi正氣 was reached and the Joongseong instrument when Joongi中氣 was reached, according to the subdivisions of the seasons when the rituals were conducted. Thus, Jeongseong and Joongseong were based on the difference in pitch in the aspects of Yoolgwan, musical instrument, and music, but they were also found to differ in the aspect of pitch extent. In other words, the numbers of Jeongseoung 16 and Joongseong 12 were already specified in Pyeonjong and Pyeongyeong in Goryeosa ‘Akji’, and in view of the fact that Hwaengmok[Cheon] for the use of of Jeongseong and Hwaengmok[Cheon] for the use of Joongseong were separately established, it could be confirmed that the pitch extents of Jeongseong music and Joongseong music were limited to 16 rhythms and 12 rhythms, respectively.
한국어
한국음악사에서 서로 상대적 개념을 지닌 正聲과 中聲이 처음으로 언급된 사료는 고려사 「악지」이다. 그것에 의하면 정성과 중성이 대두된 배경에는 북송 휘종대의 대성아악(위한진악)이 자리하고 있다. 애초, 대성아악에서의 정성과 중성은 음고가 서로 다른 두 종류의 음악 내지는 악기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음악학분야에서 논의되어온 대성아악의 정성과 중성은 종경(편종과 편경)의 수 16과 12에 의거함으로써 단지 음역문제로만 조명되었다. 이에 북송 휘종대 대성아악에서의 정성과 중성에 대한 본래적 의미를 상고해 보았다. 연구 결과, 북송 휘종대에는 隨氣用律法을 적용하기 위한 방안으로써 기본음인 황종의 길이를 9촌으로 삼은 정성과 8촌 7분으로 삼은 중성 등 두 종류의 樂制가 병존하였음이 확인되었다. 즉 정성과 중성이라는 음고가 서로 다른 양종의 황종율관을 구비하고, 각각의 황종 기본음에 의거하여 서로 다른 두 부류의 樂器群을 제작한 뒤, 祭儀가 행해지는 시기의 節氣에 따라 正氣가 이르는 때에는 정성의 악기를, 中氣가 이르는 때에는 중성의 악기를 사용함으로써 음양의 조화에 대비하였다. 동시에 音域 면에서 상이점이 발견되었는데, 고려사 「악지」의 편종과 편경에 종경에 이미 정성 16, 중성 12의 수가 명시되었을 뿐만 아니라, 정성용 횡목[천]과 중성용 횡목[천]이 별도로 구비된 점으로 미루어 정성악은 16율, 중성악은 12율로 음역이 제한되었음이 확인되었다.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중국음악사에서의 정성과 중성
2.1. 북송 휘종대의 정성과 중성
2.2. 북송 휘종대 정성과 중성의 음역
2.3. 북송 휘종대 정성․중성제도의 폐지
3. 맺는 말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