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대항공론장의 구조에 관한 연구-넥트와 크루게의 이론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A Study on Counter Public Sphere

윤영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otential and limitation for the production of counter public sphere in modern capitalism. Most contemporary conceptualizations of the public sphere are based on the ideas expressed in Jürgen Habermas' book 'The Structural Transformation of the Public Sphere – An Inquiry into a Category of Bourgeois Society (Strukturwandel der Öffentlichkeit: Untersuchungen zu einer Kategorie der bürgerlichen Gesellschaft)'. In 'Public sphere and experience : toward an analysis of the bourgeois and proletarian public sphere (Öffentlichkeit und Erfahrung. Zur Organisationsanalyse von bürgerlicher und proletarischer Öffentlichkeit), Oskar Negt and Alexander Kluge criticize Habermas’ historical description of the public sphere, and confront it with "proletarian public sphere". They argue that the bourgeois public sphere was in fact constituted by a number of significant exclusions. They claim that the bourgeois public sphere discriminates against the proletarian class. On the contrary, it is the arena and eventually the power base of a stratum of the bourgeois as a universal class. Thus, they stipulate a hegemonic tendency of the bourgeois public sphere, which dominated at the cost of alternative publics, thereby averting other groups from articulating their particular concerns. To illuminate the characteristics and structure of counter public sphere, this study tried to review the public sphere theory of Negt & Kluge. The public sphere is regarded in accordance as an institution of the civil society with its normative characteristics. The public sphere is no power-free space, but the social space is characterized by hierarchy and struggle. The emancipator potential of the public sphere is considerably smaller than also in the discussion around new media that it is accepted. In this sense, the public sphere is not the opposite, but firm component of power.

한국어

본 연구는 현대사회의 민주적 발전을 위한 ‘진정한’ 공론장의 형성, 그 가능성과 한계는 무엇인가, 그 구체적 형태로서 지배적 공론장에 대항하는 대항공론장의 가능성과 그 조건은 무엇인가라는 기본적인 질문에서 출발했다. 즉 현대사회의 정치경제적 조건 속에서 대항공론장의 의미, 자본주의적 생산양식 하에서 형성될 수 있는 대항공론장의 구조와 성격, 그리고 그 한계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고자 했다. 이를 위한 접근은 이론적 수준에서 오스카 넥트(Oskar Negt)와 알렉산더 크루게(Alexander Kluge)의 이론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넥트와 크루게는 1972년 <공론장과 경험> 연구를 통해 프롤레타리아 공론장 개념을 중심으로 대항공론장에 대한 분석을 제시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본 연구는 대항공론장 개념 및 이론적 접근, 그리고 대항공론장의 구조와 성격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넥트와 크루게에 의하면 공론장은 다양한 세력들에 의해 구성되며 다양한 세력들 간의 각축의 장이다. 이속에서 프롤레타리아 공론장은 대항공론장으로서 동시에 부분공론장으로 기능한다. 공론장의 원래적 기능에 따라 공적인 문제를 제기하고 해결하는 능력이 있다고 해서 공론장이 단일하게 구성되어 있다고 주장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공론장은 다양한 분리선, 세력관계로 이루어진 사회적으로 조직된 장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지배적 공론장과 대항공론장은 다양하고, 때론 겹치며 경쟁하는 영역들로 즉, 복수적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그 상호관계 역시 역동적으로 이루어지는 변증법적 이해가 전제되어야 한다. 한편 넥트와 크루게에 의하면 대항공론장의 형성, 그 가능성과 한계는 이중성을 지니고 있다. 경험과 상상력과 같은 인간의 의식이 자본주의적 생산양식 하에서 이중적으로 기능하기 때문이다. 그러기에 프롤레타리아 공론장과 같은 대항공론장의 이론이 실천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이 넥트와 크루게가 시도했던 유물론적 대항공론장 이론은 여전히 현대사회의 미디어와 공론장 분석을 위한 문제의식과 이론적 기초를 제공하고 있다. 공론장 분석에 계급적 성격을 부여했다는 점과 아울러 넥트와 크루게의 대항공론장 이론은 경험을 강조함으로써 여러 미디어실천에 기여하기 때문이다. 언론운동, 퍼블릭 액세스, 미디어교육, 미디어운동 등은 역시 우리사회에서 우리사회의 민주주의와 관련하여 여전히 진행 중인 중요 문제이다. 넥트와 크루게의 이론은 이러한 문제들에 접근하는 또 하나의 이론적 기초를 제공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적지 않다.

목차

초록
 Ⅰ. 문제의 제기
 Ⅱ. 대항공론장의 이론적 논의
  1. 공론장의 개념
  2. 대항공론장의 개념
  3. 대항공론장의 이론적 접근
 Ⅲ. 대항공론장의 성격
  1. 대항공론장으로서 프롤레타리아 공론장
  2. 실천으로서 대항공론장
 Ⅳ. 대항공론장의 구조
  1. 공론장과 대항공론장의 변증법
  2. 대항공론장과 의식
 Ⅴ.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윤영태 Young-Tae Yoon. 동의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