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distance learning’ satisfaction with the lectures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lies in the development of human resources required by the knowledge-based society through the empirical survey of the influential factors, having an effect on the learners' satisfaction with distance learning, and the enhanced quality of instructional service which would lead to an improved academic performance by learners.
To this end, this study utilized a questionnaire survey participated by 203 students of K University in the Chungnam province, who were enrolled as lifelong education students and took classes of distance learning.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using the statistical program of SPSS Ver. 13.0.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effect of distance learning factors on the students’ satisfaction with distance learning, was found to be affected by such factors as system and teachers' capability.
As such, it was found that our distance learning system has its own limits, and it was also proven that the system requires diversified efforts to be made without delay. In the meantime, the new environment accompanied by distance learning was proven to necessitate a new management capability of instruction to be equipped by teachers. In other words, teachers, who can be likened to a conductor of the whole instruction, should give duly attention to not only their quality of lectures, but to the promotion of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through instructional design.
한국어
본 연구는 원격교육 학습자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증적으로 조사하여 원격교육의 질을 향상시키고 그것이 학습자에게는 성과로 이어져 지식기반사회(knowledge-based society)가 요구하는 인적자원의 개발을 도모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충남지역 K대학 평생교육원에서 원격교육 수업을 수강한 학생 203명에 대한 설문조사내용을 활용하였다. 자료들은 SPSS ver 13.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원격교육 요인 중 학습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시스템요인과 강사요인이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났다.
이로써 아직도 우리나라의 원격교육 시스템구축에 한계가 있음이 드러났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다각적인 노력이 시급함을 증명하였다. 한편, 원격교육 환경에서는 교수자의 새로운 수업운영능력이 필요함이 증명되었다. 즉, 강사는 강의뿐만 아니라 전체 수업의 지휘자로서 교수설계로부터 메일이나 화상시스템 및 ‘질문과 답변’에 신속하게 대응하여 강사와의 상호작용을 활성화시키고, 토론의 장을 마련하여 협력 학습을 지도하여 구성원 간에 새로운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며 문제 해결능력을 높이는 데에도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고찰
1. 원격교육
2. 사회복지 평생교육
3. 선행연구
Ⅲ. 조사연구 및 분석
1.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연구방법
2. 연구결과
Ⅳ. 연구의 함의
참고문헌
Abstra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