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fundamental essence of theology derives from the God's existence and it begins simultaneously with the life of Jesus Christ. Therefore it might be said that theology shall be based on common understanding of the continuity of human nature and life. The common understanding here means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the Bible readers of the right time of Bible composition and the current age. So, practical theory means the event of Resurrection of Jesus Christ which was newly created in dialectical intercourse. The dialectical intercourse has been coming out of meeting between gospel and situation. When our experience with historically, culturally and politically complex characteristics and the life of Jesus Christ collide, the degree of understanding Jesus Christ and confession may differ. The suggestions for the life with practical theology are as follow: First, every Bible and theology shall be focused on 'life fulfilling practical theology' and the main duty of the Bible and theology shall be 'fulfilling ministry and life of faith.' To tell the truth, the reality nowadays is that both general theology and practical theology are insisting on their own routes. Their routes are in the trend of choosing each different specialization. Secondly, four functions for the life with practical theology shall be mirrored in our life; namely, they are (1) existential life of church, (2) interpretation of the Bible, (3) pastoral ministry, (4) social service. Existential life of church is the religious life in church community and Koinonia life. The function of interpretation of the Bible is to renew the Gospel of Jesus Christ into salvation in life of today. Pastoral ministry contains humane, ethical and religious leadership, including God oriented life. Social service poverty, superstition, idol, disease, suppression and ignorance. Thirdly, the emphasis shall be placed on the recovery of life through the change of worship between human and nature. It is because the world of creation is meaningful emergence of life and preservation and recovery of it and campaign for renovation are related with worship life, too. Fourth, the renewal of worship does not come out of appearing worship or praise. Neither does it on screen. We had better believe that it may really come out of connotative meaning. And the Bible, tradition and sacramentality need to be focused on the renewal of worship. The direction of the renewal of worship shall be toward to the internal life of believers in church instead of the factors outdoors of church. Finally, integrity to life with practical theology and coincidental pursuit of theological life are necessary for getting over the disjunction that is one of the current crises will be settled.
한국어
신학의 근본적 본질은 하나님의 삶에서 비롯되는 것이며, 동시에 성경적인 예수 그리스도의 삶에서 시작된다고 하였다. 그래서 인간의 본질과 삶(경험)의 계속성을 전제하는 오늘의 삶의 이해의 공통성에 근거해야 한다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성경 기록시대의 독자들과 오늘 현대를 사는 독자들 사이에 연결되는 삶(이해)의 공통성, 즉 상호이해를 의미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실천신학이란 복음과 상황과의 만남에서 생겨지는 변증법적인 만남의 삶 속에서 창조되는 새로운 삶의 해석적 사건, 즉 예수 삶의 재현사건라고 하였다. 다시 말하면 역사, 문화, 정치의 사회적인 복합성격을 띠고 있는 우리의 삶(경험)과 예수의 삶(사실)과 맞 부닥칠 때 예수이해나 고백의 내용은 달라질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그래서 실천신학적 삶에 대한 제안을 다음과 같이 하고자 한다. 첫째로 오늘날 신학일반 분야와 실천신학 분야 내에서 독자적인 전문화 추세로 각각 달리 서로 만날 수 없는 자기의 길로 가고 있는 현실에 대하여 모든 성경과 신학은「신학의 실천적 삶」이 되어야 하며, 동시에 성경과 신학의 주요임무는 「목회실천과 신앙생활」이 되어야 한다. 둘째로 실천신학적 삶으로서 네 가지 기능 : 교회의 실존적 삶이란 교회공동체의 신앙적 삶과 코이노니아적 삶이며, 성경해석의 기능은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을 오늘의 삶의 구원으로 되살리는데 있다고 할 것이며, 동시에 재해석, 동일성 상관관계, 생산성, 학문성을 조화롭게 긴장관계를 가짐으로 발전적으로 승화시켜 나가야 한다. 목회사역의 기능은 하나님 중심의 삶과 인격적이고 윤리적, 종교적인 리더적 개념, 즉 목양의 의미가 담겨져 있다. 사회봉사적 기능은 가난, 미신, 우상, 질병, 억압, 무지 등 해결해야 할 과제를 실천적 삶으로 드러내야 한다. 셋째로 창조세계는 삶의 의미적 부각으로 생명을 살리는 창조세계의 보존과 회복, 변화운동은 예배적 삶이 있기 때문에 예배의 변화를 통해서 사람과 자연의 삶에 대한 생명회복을 강조하는 것이다. 넷째로 “예배갱신”은 경배와 찬양, 스크린 예배에서 오는 것이 아니라, 내포적 의미를 성경과 전통, 성례전성(sacramentality)을 예배갱신에 초점을 모아야 한다. 즉, 예배갱신의 좌표가 교회 밖의 요소에 의해서가 아니라, 교회 안에서의 성도의 삶, 내적인 삶에서 갱신되지 않으면 안 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실천신학적 삶으로서 통전성, 목회현장을 지향하는 신학적 삶의 일치적 지향으로 나아가야 오늘의 위기인 신학과 실천의 괴리현상을 극복할 수 있다고 본다
목차
I. 들어가는 말
II. 실천신학적 삶이란 무엇인가?
1. 실천의 의미
2. 실천신학적 삶이란 무엇인가?
III. 실천신학적 삶으로서의 기능
1. 교회의 실존적 삶의 기능
2. 실천적 삶으로서 성서해석의 기능
3. 목회사역의 기능
4. 사회봉사의 기능
IV.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