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日本文學

村上春樹『ノルウェイの森』論 <回復>へのコミュニケーション

원문정보

[Norwegian wood] Haryki Murakami ― communications of <wound>, <healing>

무라카미 하루키 [노르웨이의 숲]론 <회복>에의 커뮤니케이션

林正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subject pay attention to as unsuitable status for the communications of characters, upon reviewing the actual scenes of communication in [Norwegian Wood] of Murakami Haruki. Deep attachment to as seen in all over the work has resulted in being confined only in his inner world as well as being worked as an obstacle on harmonious human relation. Depiction on for characters being various, [Naoko] symbolizes the image of death and sentiment and [Midori] living and moving, for [Naoko] and [Midori]. And, the figure related to also is observed a contrast displaying an expression of extreme feeling of unrest. It enables to guess the cause of to examine closely the relation of the side of or of [Naoko], [I], and [Midori] and the formation of . [Naoko] is staying in the world of self defense isolated from the outside, and is continued to the world of death. Observing the linguistic circumstances of [Naoko] and [Midori] on the side of , [Naoko] and [Midori] are not the beings contrast to each other, but [other self], [concurrent being] on the part of crossing each other of language and thought in the action of meaning. That is, there is a common place of expression of unrest and distrust for language, but [Midori] contains a possibility to recover from a displaying point of efforts to deliver internal situation or to other intimate person of [I]. In a matter of communication making of body as mediation, the sexual intercourse in [Norwegian Wood] is seen a trial to complement the incompleteness of language. The sexual intercourse as a deed to dissolve the uneasiness of impassability through a rite of passage in a kind at the latter half of the work shows a new setting of bodily communication, though the communication by language or body as a connecting point to other person was failed. This scope of communication is expanded, and connected to letters and phones as new devices. Especially, out of exchanges of letters or phones with [Midori], the part related to is continued to the affirmation of lives, and also means the extension of a feeling of existence of [Midori]. In [Norwegian Wood] various trials and errors are attempted for communication, and it is finally possible to find out a connection to other person beyond the closed world only for oneself.

한국어

본론은 무라카미 하루키의 [노르웨이의 숲]안에서의 실제 커뮤니케이션의 장면을 재검토함에 있어서, 등장인물들의 커뮤니케이션에 부적절한 상태로서 <상처>에 주목하고 있다. 작품전체에서 보이는 <상처>에의 집착은 원만한 인간관계의 장애로 작용함과 동시에, 자기 자신 내면의 세계에만 갇히는 결과를 낳고 있다. 인물의 <상처>의 묘사는 다양한데, [나오코]와 [미도리]는, [나오코]가 죽음과 정의 이미지, [미도리]는 생과 동을 상징하고 있다. 또 <상처>와 관련된 모습도, 극도의 불안감의 표현이나 드러내놓는 대조가 관찰된다. [나오코], [나], [미도리]의 <애도반응>, <애도과정>이라는 측면과 <상처>의 형성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은 <상처>의 원인을 추측할 수 있게 한다. [나오코]는 외부와 차단된 자기 방어의 세계에 머물러, 결국 죽음의 세계까지 이어진다. [나오코]와 [미도리]의 언어 환경을 <상처>의 측면에서 관찰하면, [나오코]와 [미도리]는 대조적인 존재가 아니고, 말과 사고와의 의미작용의 어긋남 이라는 부분에 있어서는 [분신], [동시적 존재]이다. 즉, 말에 대한 불안과 불신감의 표명이라는 공통점은 있으나, 내면의 상황이나 <상처>를 [나]라는 친근한 타자에게 전달하려는 노력을 보인다는 점에서 [미도리]는 회복의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신체를 매개로 하는 커뮤니케이션의 문제에서, [노르웨이의 숲]에서의 섹스는 말의 불완전성을 보완하려는 시도의 하나로 보여 진다. 작품 후반부의 일종의 통과의례의 의식으로 불통의 불안을 해소하려는 행위로서의 섹스는, 타자와의 접점으로서의 언어나 신체에 의한 커뮤니케이션이 좌절 되었다 해도, 새로운 신체의 커뮤니케이션이 설정되어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커뮤니케이션의 범위는 확대되어, 새로운 도구로서의 편지와 전화와 연결된다. 특히 [미도리]와의 편지나 전화의 교류 중, <먹는 행위>와 관련된 부분은 생의 긍정으로 이어지며, [나]에게 있어서의 [미도리]의 존재감의 확대를 의미하기도 한다. [노르웨이의 숲]에서는 인물들의 다양한 커뮤니케이션의 시행착오가 시도되고 있으며, 폐쇄된 자신만의 세계를 떠나 최종적으로는 타자와의 연결을 발견 할 수 있다.

목차

Ⅰ. 序論
 Ⅱ. 心的障害という設定
  1. それぞれの「傷」
  2. 存在する死者たち-哀悼の諸像 
 Ⅲ. ディスコミュニケーション
  1.「直子」
の場合-表現の難解さ
  2.「緑」の場合-饒舌の本意
  3. 性的な断絶
 Ⅳ. 疎通のツール
  1. 手紙
  2. 電話
 Ⅴ. 結論
 【參考文獻】
 <要旨>

저자정보

  • 林正 임정. 단국대학교 강사, 일본근현대문학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