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술 과목의 전기 자동차 만들기 수업에서 학생의 적성 유형이 만들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Effect of Making Ability of Students by Aptitude Type in the Class of Making Electric Car of Manual Training Subject

최일영, 은태욱, 김진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search how aptitude type of students impacts on making ability in the class of making electric car of manual training subject. In order to search this, we subjected on 2 classes optionally of 2nd grade in N middle school, Busan, and set null hypothesis as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in making ability(creativity, solidity, operation, aesthetics, economics) depending on aptitude type(physical training ability, manual talent, spatial & vision ability, creativity, calculation & logistic abilities). In order to verify the difference among three groups, we used One-way ANOVA, and the results of analyzing by using the inspection of Tukey's HSD(Honestly Significant Difference) as a post-inspection method. Firs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making ability depending on manual talent of aptitude types. Seco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making ability depending on spatial & vision ability of aptitude types. Thir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making ability depending on creativity of aptitude types. Generalizing above research results, in electric car making practice of moving object making unit in manual training/home working subjects, of aptitude types, manual talent, spatial & vision ability, and creativity make positive impact on making ability.

한국어

이 연구는 기술 과목의 전기 자동차 만들기 수업에서 학생의 적성 유형이 만들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적성 유형이 만들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부산 N중학교 2학년 중 임의로 2개 반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적성 유형(신체․운동 능력, 손재능, 공간․시각 능력, 창의력, 수리․논리력)에 따른 만들기 능력(창의성, 견고성, 작동성, 심미성, 경제성)의 차이가 없을 것이라고 영가설을 설정하였다. 분석방법은 세 집단간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일원 분산 분석(One-way ANOVA)을 사용하였으며, 사후 검증 방법으로 Tukey의 HSD(Honestly Significant Difference)의 검증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적성 유형 중 손재능에 따른 만들기 능력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적성 유형 중 공간․시각 능력에 따른 만들기 능력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적성 유형 중 창의력에 따른 만들기 능력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기술․가정과 운동 물체 만들기 단원의 전기 자동차 만들기 실습에서 적성 유형 중 손재능, 공간․시각 능력, 창의력은 만들기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목차

<요약>
 I.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 가설
  3. 용어의 정의
 II. 이론적 배경
  1. 적성
  2. 만들기 능력
 III.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2. 연구 도구
  3. 변인
  4. 자료 분석
 IV. 연구 결과
  1. 적성 유형의 분석 결과
  2. 만들기 능력의 분석 결과
  3. 적성 유형에 따른 만들기 능력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최일영 Choi, Il-oung. 한국교원대
  • 은태욱 Eun, Tae-Uk. 한국교원대학교
  • 김진수 Kim, Jin-Soo. 한국교원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