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초등실과 목공교육의 정착 방안

원문정보

Settlement Plan of Woodworking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김용익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woodworking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WEES), present cases of making 'wooden ware', and propose settlement plan of WEE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hrough literature review.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were made from the result of this study. 1) Considering WEES' merits such as a cultivation of creative thinking, body valance development, and offering of sensible interaction with nature, a lot of efforts should be made so that WEES can be settled. 2) Settlement plans of WEES were proposed as contents of wooden ware which can motivate strongly, give high satisfaction and usefulness, and strengthening of teacher education, construction of practice environment. 3) Cases of making 'wooden ware' which were introduced can be used properly as materials for woodworking in elementary school. 4) Well-matched and semi-structured problems for woodworking in elementary school should be prepared. Because open-structured problem can promote creative thinking, but needs long time, closed-structured problem can produce useful wooden ware, but obstruct creative thinking.

한국어

목공교육 전문가들의 입장에서 보면 목공교육이 초등교육 현장에서 정착하지 못할 이유가 없는 것처럼 보인다. 목공교육에 할애된 시수가 부족하고 지도교사의 목공 소양과 실습환경 여건이 충분히 갖추어진 것은 아니지만, 아동들의 발달적 관점에서 볼 때 창의적인 사고와 신체 균형적인 발달, 자연친화적인 행동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가 매우 크기 때문에 초등교육 현장에 뿌리내리도록 노력할 가치가 충분하다. 여기에서는 초등교육의 정착 방안으로 제작 동기를 강하게 유발할 수 있는 목제품, 최소한의 투입으로 최대한의 만족을 느낄 수 있는 목제품, 활용도가 높은 목제품, 학교나 개인의 여건과 구미에 맞는 것으로 선택하여 실습할 수 있는 다양한 목제품, 교사 재교육 프로그램 강화, 최소한의 실습 환경 구축 등을 제안하였다. 또한, 여기에서 제시한 사례들은 초등교육 현장에서 적절히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사실 초등 목공교육의 가장 큰 딜레마는 창의성과 실현가능성 또는 유용성 중 어디에 초점을 두고 교재를 구성하여 가르칠 것인가에 있다. 학생들의 열린 사고와 창의적 사고를 촉진하는 개방형 문제를 제시하고 해결하는 것을 강조한다면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만든 결과물이 조잡해질 수 있어 생활에 활용하기 어려우며 결과적으로 산출물에 대한 만족도가 떨어질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 반면, 실생활의 유용성과 제작과정을 고려하여 닫힌 문제를 제시한다면 창의적 사고에 제한을 받게 되지만 산출물의 만족도는 높아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결국 초등 목공교육에서는 학생들의 흥미도와 만족도, 창의적 사고를 적절히 유도할 수 있는 반 구조화된 문제를 만들어내는 것이 관건이라고 할 수 있다.

목차

<요약>
 I.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내용
  3. 연구의 방법
 II. 목제품 디자인의 구성 요소 및 관련 선행연구
  1. 목제품 디자인의 구성 요소
  2. 초등 목공교육 관련 선행연구
  3. 실과 교육과정에서 제시된 '생활 속의 목제품'의 개요
 III. 초등 목공교육의 강점과 약점, 환경
  1. 강점
  2. 약점
 IV. 초등 목공교육의 정착 방안
  1. 제작 동기를 강하게 유발할 수 있는 목제품이어야 한다.
  2. 최소한의 투입으로 최대한의 만족을 느낄 수 있는 목제품이어야 한다.
  3. 활용도가 높은 목제품이어야 한다.
  4. 여건이 허락된다면 전동 목공구를 사용할 수도 있다.
  5. 목제품에 다른 재료를 부착하는 것을 허용해야 한다.
  6. 제조기술의 전체 과정을 의도적으로 반영하려고 할 필요는 없다.
  7. 다양한 목제품을 제시하고 여건과 구미에 맞게 선택하도록 해야 한다.
  8. 교사 재교육 프로그램을 강화해야 한다.
  9. 최소한의 실습 환경을 구축해야 한다.
 V. 초등 목공교육을 위한 여러 가지 목제품
  1. 간벌목을 활용한 받침대
  2. 미니 바둑판
  3. 목재로 된 T 퍼즐
  4. 소형 액자 및 액자 받침대
  5. 독서대
  6. 독서대와 화이트보드 겸용
  7. 나무로 만든 곤충과 물고기 모형
  8. 울타리 선반
  9. 만능 달력
  10. 냄비 받침대
 VI.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용익 Kim, Yong-Ik. 광주교육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