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초등학교 교사들의 목공 기능 수준

원문정보

Woodworking Skill Level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이한영, 이춘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lements of woodworking skill and to survey elementary school teachers’ woodworking skill level in connection to Unit ‘Woodwork Making’ in the elementary Practical Arts curriculu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lementary school teachers’ woodworking skills related to ‘Woodwork Making’ were classified into drawing, cutting, wood processing, part assembly, and painting functions. Second, t‐test was performed to analyze difference in elementary school teachers’ woodworking skill level according to gender. In the results, male teachers showed a higher mean score than female ones in all of drawing, cut out a dress, processing, part assembly, and painting, an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one‐way ANOVA was performed to analyze difference in elementary school teachers’ woodworking skill level according to teaching experience. According to teaching experience, the teachers were grouped into those with 10 years or shorter experience (Group dw, those with 11~20 years’ experience (Group 2w, and those with 21 years or longer experience (Group 3workingone‐way ANOVA used teaching experience as an independes wvari ole, and woodworking skill asachpendes wvari ole. In the results,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among Group d, Group 2 and Group 3 in all of drawing, cut out a dress, wood processing, part assembly, and painting at significance level of 5%. Accordingly, programs to improve the woodwork skill level are necessary for female teachers and teachers with teaching experience less than 20 years in elementary school.

한국어

이 연구는 초등 실과 교과의 ‘목제품 만들기’ 단원과 관련하여 목공 기능 요소를 분석하고, 초등학교 교사들의 목공 기능 수준을 조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인천광역시 초등학교 교사들을 무선 표집 하였다. 이 연구에서 ‘목제품 만들기’와 관련된 초등학교 교사들의 목공 기능을 도면 작성 기능, 마름질 기능, 목재 가공 기능, 부품 조립 기능, 칠하기 기능으로 세분화하여 알아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들의 성별에 따른 목공 기능 수준을 알아본 결과 , 도면 작성하기, 마름질하기, 목재 가공하기, 부품 조립하기, 칠하기 기능 모두에서 여교사보다 남교사들의 평균 점수가 높으며 두 그룹간의 평균점수에 대한 t 검증을 한 결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초등학교 교사들의 경력에 따른 목공 기능 수준을 알아보기 위하여 일원 변량 분석(One-Way Anova)을 하였다. 교사의 경력은 10년 이하, 11년 이상 20년 이하, 21년 이상으로 분류하여 비교하였다. 교사들의 경력을 독립 변인으로 하고 목공 기능을 종속변인으로 하여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한 결과, 도면 작성하기, 마름질하기, 목재 가공하기, 부품 조립하기, 칠하기 기능 모두에서 1집단과 3집단, 2집단과 3집단 간에 5%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목차

<요약>
 I.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3. 연구 가설
  4. 용어의 정의
  5. 연구의 제한점
 II. 이론적 배경
  1. 기능 학습과 실과 교육
  2. 실과 기능 영역의 분류
  3. '우리 생활과 목제품' 단원 고찰
  4. 선행연구 고찰
 III. 연구 방법
  1. 문헌 연구
  2. 조사 연구
 IV. 연구 결과 및 제언
  1. 연구 결과
  2. 제언
 참고 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한영 Lee, Han-Young. 해명초등학교
  • 이춘식 Lee, Choon-Sig. 경인교육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