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논문

‘식인(食人)’ 주체와 유령들 - 황석영의 『손님』론 -

원문정보

Cannibalistic Subject and the Ghosts - Hwang Suk-Young's novel <Guest> -

오연경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What is the nature of ghosts that appear in the realistic novel? According to Derrida, a ghost is an expression of the cardinal state of affairs that is more fundamental than the being as presence which tend to persist in excluding and concealing the state of affairs at issue. In Suk-Young Hwang's novel entitled , Yo-Sub's visit to his home village indicates an entrance to the cardinal state of affairs ‘Shinchun Massacre’ that was kept in silence for 50 years since the Korean War. It is an encounter with ‘the moment in which the connections of time have been disassembled’, i.e. facing the others’ time that was thoroughly suppressed by the South-North ideology. Yo-Sub, who belongs to the second generation that comes after the original crime, was born with the destiny of ‘a cannibalistic subject’ whose patrimony cannot be properly worked out without receiving the ghosts. So Yo-Sub who can get cured from the inherited fatal harm only when he rectifies the wrongdoing of the previous generation that acclaimed the guests from the west, desperately attempts to do the mourning work. According to Derrida, the mourning work lies essentially in the internalization and the identification of the other into one's symbolic structure. Finally Yo-Sub recovers, in a paradoxical way, his own self by means of making himself into the other, i.e. taking in Yo-Han's ghost. This accords well with the narrative structure of Ji-no-gwi exorcism in which Yo-Sub becomes a psychic medium, and communicates with the dead people. The cycle activity of exorcism where the task of conjuring up the ghosts is carried out contains an attempt to regain one’s subjectivity by way of recapturing the human relationship with others. In this respect it turns out that a ghost is not the other that is transplanted from the outside but the other that comes from the inside, i.e. the transmitted other. The transmitted other, i.e. a guest, while amending the history's wrongdoing, provides us with an opportunity to experience the true liberation from the sense of guilt.

한국어

리얼리즘 소설에 등장하는 유령의 정체는 무엇인가? 데리다에 따르면 유령은 현전으로서의 존재가 은폐하고 몰아내려고 하는, 존재보다 더욱 근원적인 사태의 표현이다. 황석영의 소설 『손님』에서 요섭의 고향 방문은 한국 전쟁 이후 오십 년 동안 침묵 속에 묻어 두어야만 했던 ‘신천학살사건’이라는 근원적 사태로의 진입을 의미한다. 그것은 ‘시간의 이음매가 어긋난 순간’, 즉 남북 이데올로기에 의해 철저히 억압당했던 타자의 시간과 마주하는 일이다. 요섭은 범죄 이후에 도래하는 두 번째 세대, 즉 유령을 감수하지 않고서는 결코 상속받을 수 없는 ‘식인(食人)’ 주체의 운명을 타고났다. 서방에서 온 손님들에게 열광했던 전세대의 과오를 바로잡아야만, 그 과오로부터 상속받은 자신의 치명적 외상을 치유하고 자기회복에 이를 수 있는 요섭은 필연적으로 애도 작업을 시도한다. 데리다에 따르면 애도 작업은 본질적으로 타자를 자아의 상징 구조 안으로 동일화, 내면화하는 것이다. 결국 요섭은 요한의 유령을 몸 안에 받아들임으로써, 다시 말해 자신을 낯선 타자로 만듦으로써 역설적으로 가장 낯익은 자신의 모습을 회복하게 된다. 이것은 요섭이 영매가 되어 망자 요한에게 신들림으로써 모든 죽은 자들과 소통하며 한 판 굿을 벌이는 지노귀굿의 서사 구조와 정확히 맞아떨어진다. 유령을 불러내고 다시 쫓아내는 ‘콩쥐라시옹(굿)’의 순환 행위 속에는 타자와의 관계를 회복함으로써 곧 주체를 회복하려는 시도가 들어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유령은 외부로부터 이식된 타자가 아니라 내 안으로부터 도래하는 타자, 즉 유전(遺傳)된 타자라 할 수 있다. 유전된 타자, 손님은 역사의 어긋난 순간을 바로잡고 죄의식에서 벗어나 진정한 해방의 체험을 누리기 위한 기회를 선사한다.

목차

요약문
 1. 주체와 타자, 원근감의 차이
 2. 고향, 타락한 금기의 땅
 3. 유령들의 출현
 4. 지노귀굿과 다중 서술
 5. ‘식인(食人)’ 주체와 주체의 재탄생
 6. 유전(遺傳)된 타자, 손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오연경 Oh, Youn-Kyung. 고려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