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공공미술의 가치와 화훼조형

원문정보

A Value of Public Art and Floral Formative Art

성원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function of a city has entered into the paradigm of Global city that is beyond the expansion of big city in amount, and beyond the regional notion in the future. It is beyond the limitation of function as the capital of Korea, and the metropolis of industry.
Now, the city itself is branded, and becoming the expression of generational culture to set up the new Identity overcoming the function of place for habitation of citizen, and the center for the nation and industry. Public Art appears often in the central of the city, public collective architecture, plaza, park, school, history and external wall of residence. And these appearances are due to the expansion of city after the industrialization, with diversifying of the cultural entities according to the change in spatial habitation. Public Art, as for the Global city in the future, will be expended into public function for culture and art. From this point of view, the researcher would like to evaluate the function of Floral Formative Art as Public Art, and ‘objet’ as the artistic experience appeared in urban environment. In 2009, Seoul Metropolitan City, announced Han-gang Renaissance policy. And the composition of Seoul City Hall Plaza, cultural street of CheongGyeChun, KwangWhaMoon Plaza, and the rearrangement plan of Insa-Dong culture district were executed rapidly. In the course of this stream, ‘Flower Carpet’ in KwangWhaMoon Plaza, is thought to be estimated as the formative action that transforms the object of the plaza into the park, and to be gotten the attention from a novel point of view. Nevertheless, the result created by the process of combining the environment and art should be evaluated by the aesthetical value judgment. The researcher would like to investigate on the value of nature, art, and culture as public assets.

한국어

도시의 한계가 한 국가의 수도나 산업의 중심지로서의 역할을 넘어, 미래에서는 대도시 Big City의 양적 팽창을 넘어선 Global City라는 지역을 초월한 새로운 도시적 패러다임으로 진입했다. 이제 도시는 새로운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해 시민들의 주거와 생활, 국가와 산업의 중심과 행동의 역할을 넘어서서 도시 자체가 브랜드화 되고 도시 자체로서 그 시대 문화가 표출되기도 한다.
공공미술은 산업화의 확산 이후 도시 형성의 확산으로 주거와 생활의 공간의 변화에 따른 문화 경험의 주체들이 다양화되면서 도시 중심부나 정부 단체 건물, 광장, 공원, 학교, 병원, 역사, 주택 외벽 등에 자주 등장하고 있다. 공공미술은 글로벌 시티의 앞으로의 시대에 있어서 더욱더 문화와 예술의 공공적 역할에 대해 확산될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공공미술로써의 화훼예술의 역할과 도시환경 속에서 나타난 예술의 체험의 오브제로써 식물적 환경조형물의 역할에 대해 다시금 생각해 보고자 한다. 2009년 서울시는 한강 르네상스 정책을 발표하였다. 그리고 서울시청 앞 광장, 청계천 문화거리 조성, 광화문광
장, 인사동 문화지구 재정비 사업 등이 발 빠르게 전개되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광화문광장의 「플라워 카펫」은 광장의 목적을 공원화하면서도 새로운 관점에서 주목을 받았던 조형적 행위로 판단된다. 그러나 이러한 환경과 예술을 융합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결과물들이 동시대의 미적 가치 판단으로 점검되어야 하며, 또한 공공의 자산으로 자연과 예술, 문화의 가치를 연구하고자 한다.

목차

Abstract
 Ⅰ. 서론
  1. 연구의 목적
  2. 연구의 방법
 Ⅱ. 공공미술
  1. 공공미술의 영역
  2. 공공미술의 조건과 개념
  3. 공공미술의 목적
 Ⅲ. 도시와 미술
  1. 예술의 장으로써 도시
  2. 도시와 미술
 Ⅳ. 화훼조형과 공공미술
  1. 랜드마크와 상징물로서의 화훼조형
 Ⅴ. 결론
 국문초록
 참고문헌

저자정보

  • 성원선 SEOUNG, Won-sun. 수원대학교 미술대학원 화예조형학과 겸임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