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상사와 부하의 성격적합이 리더십 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The Influence of Personality Fit between Leader and Follower on Leadership Effectiveness

김오현, 주수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Coordinated effort between individuals and organizations are very important in effectively achieving the goal of an organization. Roles of a leader in an organizat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maintaining organic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s and an organiza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at personality fit between Leader and Follower influence leadership effectiveness. Furthermore this study want to found what factors make personality fit at a deeper level and the dynamics of personality with enneagram. Research into the relation between personality fit and leadership effectiveness shows that an individual personality make harmony in harmonic group at enneagram.
As a result, research into the harmonic personality fit is the most effective factor in contributing to leadership effectiveness will be a great help to achieving the military's ultimate goal. Finally, this study is eminently btoader and deeper than other personality fit article, and is therefore of greater value to those seeking to know the real personality fit.

한국어

본 연구는 개인의 성격 간 특성 분석 및 상호작용을 규명함으로서 성격의 상호보완, 고유성격의 변화, 성격과 성격의 적합관계 그리고 리더십 유효성과의 연계성을 밝히는데 본 연구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사람이 지닌 성격적 측면의 복잡성과 역동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에니어그램의 성격적합 관계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성격유형별 선호성격 분포에서 군 조직의 구성원들은 에니어그램의 하모닉 그룹 중 긍정적 태도 그룹의 성격유형을 선호하였다. 이는 삶의 밝은 면을 강조하고 긍정적 생활 태도를 제시해 주는 리더를 선호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둘째, 성격적합은 리더십 유효성과 긍정적 영향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 주목한 점은 성격적합에 있어 상호 보완적 성격 역할이다. 연구의 결과를 통해 조직 내 다른 구성원과 서로 보완적인 성격 조화를 통해 조직에 더욱 긍적적인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찾을 수 있었다. 셋째, 성격의 발달방향과 리더십 유효성과의 관계를 통하여 인간이 지닌 성격의 복잡성과 역동성을 고찰하였다. 또, 상사와 부하 모두가 성격의 발달방향이 건강성을 지닌 통합 방향으로 향하고 있을 경우 리더십 유효성이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는 리더로서 자신 및 부하의 성격을 분열의 방향이 아닌 통합의 방향이 되도록 관리하고 지도해야 함의 중요성을 보여주고 있다.

목차

< 초록 >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성격적합에 관한 연구
  2. 에니어그램의 성격유형
  3. 에니어그램에서의 성격의 발달방향
  4. 리더십 유효성의 개념 및 구성요인
 Ⅲ. 연구방법
  1. 연구모형의 설정
  2. 가설의 설정
  3.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도구
  4. 자료의 수집 및 분석방법
 Ⅳ. 연구결과의 분석 및 해석
  1. 기초통계 분석
  2. 가설의 검증 및 해석
 Ⅴ. 결론
  1. 연구결과의 요약
  2.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오현 Oh Hyeun Kim․. 국방대학교 리더십학과 교수
  • 주수호 Soo Ho Joo. 육군대위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