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논문

직업생애사에 기반한 고령층여성의 고용가능성 지원을 위한 교육복지 방안

원문정보

Educational Welfare Concept to Strengthen the Employability For Elderly Women at the Base of Vocational Biography

박성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Nowadays, elderly women are still often excluded from lifelong education. This phenomenon often causes insecure existence for them. To guarantee their existence, educational welfare of elderly women has to be accomplished. This research is based on vocational biography. By means of biographic narrative interviews with 12 elderly women, who are working, participating life long learning programs or searching for jobs.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s as below. Firstly, the elderly women want to work as long as they can. Secondly, during the working process, the women develop their identity and become protagonists in their life. The findings suggest that, socially low income women should hired with priority and integrated to get employability and have better working competencies.

한국어

고령화사회에서 남성노인보다 긴 노년기를 보내는 고령층여성의 안정적인 노화를 위한 고용가능성은 촉진되어야 한다. 특히, 생계형 취업자가 대부분인 고령층여성의 경우에는 교육과 복지적 지원이 함께 삶의 질이 높아진다. 연구자료는 구직 중이거나 취업 중인 고령층여성의 경험을 직업생애사를 중심으로 내러티브 면접하여 수집하였으며, 근거이론의 코딩화과정에 따라 분석하여 범주화하였다. 고령층여성은 고령의 나이와 여성의 역할이라는 사회화의 규범대신 생산성을 지향하며 자신의 일상세계를 새롭게 재구성하면서 역량을 만들어 나갈 수 있는 교육을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적극적으로 구직하며 교육을 요구하는 고령층여성의 학습요구를 기반으로 사회구성원 모두가 더불어 살아가는 공동체적 삶이 가능하도록 교육이 촉진되어야 한다. 고령과 실업 등의 빈곤 대처 중심의 복지제도는 빈곤으로부터의 보호와 인간다운 생활보장, 고용기회의 극대화를 위한 고용가능성 개발을 촉진하여, 개인의 자아실현을 위한 교육이 강조되는 교육복지 제도로 발전되어야 할 것이다.

목차

요약
 선행연구 분석 및 이론적 배경
  노인취업 관련 정책 프로그램과 교육복지
  고령층여성의 취업 교육
  공동체적 삶과 자기 주체화를 촉진하는 교육복지
 연구 방법과 분석 결과
  면담의 원칙과 사례분석 방법
  분석 결과
 연구 결과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박성희 Seong-hie Park. 공주대학교 교육복지연구센터 연구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