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朱熹와 戴震의 淫詩解釋에 관한 考察 - 15國風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The study of Zhu-xi(朱熹) and Dai-zhen(戴震)’s filthy poetry interpretation - Centering around 15Guo-feng(國風)

주희와 대진의 음시해석에 관한 고찰 - 15국풍을 중심으로

박순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Zhu-zi(朱子) represented the study of The Book of Odes in Song dynasty and Dai-zhen(戴震) was The Book of Odes researcher representing Wan-pai(a kind of party) in Qing dynasty. Especially Dai-zhen took critical position of Zhu-xi. Comparing Zhu-zi with Dai-zhen in the aspect of The Book of Odes interpretation, this thesis intends to review the difference and the reason of both interpretations. Especially this thesis compares Zhu-zi’s interpretation with Dai-zhen’s about thirty poems Zhu-zi considered filthy poetry, investigating the differences of their interpretation. Regarding the poetry Zhu-zi considered filthy as refined satire, Dai-zhen had a negative position about Zhu-zi’s theory of filthy poetry. As Zhu-zi interpreted the poetry in the first person on the literary view in the time when he interpreted the lyrics in the Feng-shi, he regarded the purpose and the usefulness of poetry as feeling of words. But as Dai-zhen interpreted the poetry in the third person under a Confucian classic view, he regarded the purpose and the usefulness of poetry as refined satire. In brief, that is to say that Zhu-zi made literary interpretations of feeling of words but Dai-zhen made Confucian classic interpretations of ‘Si-wu-xie’(思無邪). These two men’s differences about interpretation of The Book of Odes have much importance on the historical aspects of The Book of Odes. So to speak, Dai-zhen had bibliographical approach and described the meaning of poetry objectively, following Mao-shi(毛詩) theory about the interpretation of meaning of poetry, criticizing Zhu-zi’s literarary view. Dai-zhen’s interpretation of The Book of Odes mentioned Above was made from long vital power of Mao-shi theory and a Confucian classic method. Considering the historical stream of Zhu-zi and Dai-zhen’s interpreting The Book of Odes, The Book of Odes will be interpreted and analyzed from the various views in the future.

한국어

朱子는 宋代의 詩經學을 대표하고 戴震은 淸代의 晥派를 대표하는 詩經硏究家이다. 본 논문에서는 朱子에 대하여 비판적 입장을 취했던 戴震을 {詩經} 詮釋 방면에서 朱子와 비교하고 특히 주자가 “淫詩”라고 본 30편의 시에 대하여 양자를 서로 비교함으로써 어떻게 서로 다르게 시를 해석했는가를 규명하였다. 그 결과 주자와 대진은 30편시에 있어서 그 견해가 같은 것은 2편 밖에 없었고 나머지는 모두 달랐다. 주자는 풍시에 나오는 情詩를 해석함에 있어 文學的 觀點에서 제1인칭 視點으로 시를 해석하여 시의 목적과 효용이 ‘言情’이라고 본 반면, 대진은 情詩에 대하여 經書的 觀點에서 제3인칭 視點으로 시를 해석하여 시의 목적과 효용이 ‘美刺’라고 보았다. 이는 한마디로 주자는 ‘言情’의 文學的 解釋이고, 戴震은 ‘思無邪’의 經書的 解釋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두 사람의 {詩經}에 대한 해석 차이는 詩經學史의 측면에서 적잖은 의미를 갖는다. 즉 毛詩-漢代-唐⋅宋代-明⋅淸代-現代로 이어지는 時代史的 흐름에서 {詩經}이 경서적 관점의 해석에서 문학적 관점의 해석으로 바뀌는 과정에서 주자가 태동적 역할을 하였지만 일정한 한계가 있었고, 淸代의 戴震을 거쳐 현대에 와서 완성되는 과정에서 戴震는 {詩經}을 考據學 方法으로 접근하여 객관적으로 詩義를 설명하면서도 詩義의 解釋에 있어서는 毛詩說을 따르고 朱子의 문학적 관점을 계승하지 않고 경서적 관점에서 해석했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戴震의 {詩經} 해석은 毛詩說의 긴 생명력과 {詩經}의 경서적 해석으로부터 문학적 해석으로의 전환이 직선적이지 않고 그 사이에는 많은 다양한 견해가 존재하였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주자와 대진의 일련의 흐름을 볼 때 시경은 앞으로 계속 다양한 시각으로 해석되고 연구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또한 그렇게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목차

<논문 요약>
 Ⅰ. 들어가는 말
 Ⅱ. 朱子와 戴震의 心性情論
  1. 朱子의 心性情論
  2. 戴震의 心性情論
 Ⅲ. 朱子와 戴震의 詩經 詮釋특징
  1. 朱子의 詩經詮釋특징
  2. 戴震의 詩經詮釋특징
 Ⅳ. 朱子와 戴震의 淫詩解釋
  1. 朱子와 戴震의 淫詩에 대한 정의
  2. 淫詩에 대한 비교와 분석
 Ⅴ. 나가는 말
 <참고 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박순철 Park Sun-cheul. 전북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