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대학 행정직원의 직업기초능력 요인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Development of Core Competence Scale of the Staff in the University

이석열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was aimed at developing a scale for staff's core competence.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rom research procedures and data analysis. First, the measurement variables of the scale of core competence used in this study were found such as self management, problem solving, communication, human relationship, and information technology. Second, the tests of scale development procedures were the construct validity, the logical factors of items, and reliability. The Cronbach alpha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was .82. The result of this analysis at last confirmed 16 items of four variables. Third, the results of the needness application of the instruments appeared above all mean 3.5 on the sub-variables of staff's core competence. Also, the results of the education need analysis of the instruments appeared above all mean 3.6 on the sub-variables of staff's core competence.

한국어

이 연구는 대학 행정직원의 직업기초능력 요인을 추출하여 확인하고 이에 대한 필요정도와 교육요구 정도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첫째, 직업기초능력 요인의 추출은 국내외의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선정하였다. 직업기초능력의 요인은 자기관리, 문제해결, 의사소통, 인간관계, 정보 및 문서처리 등 다섯 개 영역으로 16개 구성요소였다. 하지만 대학 행정직원의 직업기초능력 구성요소에 대한 구인타당도를 구한 결과 자기관리와 문제해결이 함께 묶여 네 가지 영역으로 구분되었고, 이에 대한 전체 신뢰도 Cronbach α계수는 .82로 양호하게 나타났다. 둘째, 이러한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행정직원들의 업무필요 정도를 검토한 결과 전체적으로 3.51~4.04로 대체로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육요구 정도도 전체적으로 3.62~3.93으로 요구정도가 대체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직급별로 차이를 알아보았을 때, 직업기초능력의 업무필요 정도에서는 6급 이상이 7급 이하보다 기획력, 창의력, 의사결정능력, 리더십, 협상능력 등에서 더 필요하다고 느꼈고, 교육요구 정도에서는 6급 이상이 7급 이하보다 협상능력이 더 높았지만 정보검색 관리 능력은 오히려 7급 이하가 6급 이상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직업기초능력의 의미
  2. 직업기초능력의 구성요소
  3. 대학 행정직원의 직업기초능력 구성요소
 Ⅲ. 연구방법
  1. 연구의 대상
  2. 측정 도구
  3. 자료 처리
 Ⅳ. 연구 결과
  1. 직업기초능력의 구성요소의 확인
  2. 대학 행정직원의 직업기초능력 분석
 Ⅴ. 결론 및 제언
  1.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석열 Suk-Yeol Lee. 남서울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