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이양지 <해녀>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A Female Diver by Yangji Lee

윤송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Yangji Lee is an author who describes most vividly through literary works the status of being a boundary line or dual outsider as a Korean-Japanese. Yangji Lee, who reveals in his work, without addition or subtraction, based on the author’s experience of his fatherland by studying abroad in Korea, the identity confusion or strained relationship that a Korean-Japanese
experiences not only in Japan but also in Korea, shows the view of an observer and experienced one to expose a complex inner being that is multi-layered, contradictory, and facing the limit, beyond the logic of national identity which is divisionary and unified. A Female Diver by Yangji Lee (1983) which is studied in this thesis has been evaluated as a work that expressed, to the extreme degree, ‘he ill-fate’of a Korean-Japanese, due to the tragic conclusion. However, the main character’s ill mental state and actions in this work come from the Scapegoat Ideology through historic reflection being forced to be the inner-self and the acute structure of conflicts
between the self and the negative world that is manifested as various abject images is considered as a symbolic expression of her restrained circumstances as a female Korean-Japanese. The main character’s such experiences of suffering and dispair finally stop through recurrence to inside water. She overcomes her abject existence by meeting her ‘maginary Father’and answering his voice, moves to her Imaginary Father’s space, retrieves from
her negative femininity through this, and escapes from the abject image of a Korean-Japanese. ‘nside water’, appeared as ‘Sea of Jeju Island’ is a space of rebirth and purification, and at the same time, it is her primitive home that reveals origin of existence and a space of ‘Father’. Through a desperate action - death, the author completes a position of going toward a moment in search for identity overcoming her abject self as a Korean-Japanese and
female. And the method of description in A Female Diver which she and her Japanese step-sister Geiko appear taking turns as a narrator, being exposed to double, triple views, shows a slice of complex and contradicted identity of a complicated/multi-layered Korean-Japanese.

한국어

이양지는 재일조선인의 경계적 위치, 혹은 이중적 타자의 위치를 문학작품을 통해 가장 적나라하게 묘파하고 있는 작가이다. 한국 유학이라는 작가의 조국 체험을 기반으로 일본뿐 아니라 한국 안에서 재일조선인이 겪는 정체성의 혼란과 긴장관계를 가감 없이 작품 안에 드러내고 있는 이양지는, 이분법적이고 단일적인 민족 정체성 논리를 넘어 중층적이고 모순적이며, 경계에 직면한 자아의 복합적 내면을 폭로하는 예리한 관찰자 이자 경험자로서의 시선을 보여준다. 본고에서 고찰한 이양지의 <해녀>(1983)는 그 결말의 비극성으로 인해 재일조선인의 ‘불우성’을 극단적으로 표현한 작품으로 평가되어 왔다. 그러나 작품에 나타난 주인공의 병적인 심리 상태와 표출 행위들은 역사적 추체험에 기인한 희생양 의식
의 강제된 내면화에서 비롯된 것이며, 다양한 비체적 이미지로 발현되는 부정적 세계와 자아의 첨예한 갈등 구조는 재일조선인 여성으로서의 그녀의 억압적 상황을 상징적으로 드러낸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주인공의 고통과 좌절의 경험은 ‘물속’으로의 회귀를 통해 비로소 멈추게 된다. ‘상상의 아버지’와 대면하고 그 목소리에 응답함으로써 그녀는 비체적 자기 존재를 극복하고 ‘상상의 아버지’의 공간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를 통해 부정적 여성성을 회복하고 재일조선인이라는 비체적 이미지로 부터 벗어나게 된다. ‘제주도의 바다’로 형상화되는 ‘물속’은 재생과 정화의 공간이면서 동시에 존재의 기원을 드러내는 원초적 고향이자 ‘아버지’의 공간이다. 작가는 죽음이라는 절박한 행위를 통해, 그녀가 재일조
선인, 여성이라는 비체적 자기 존재를 극복하고 정체성 모색의 순간으로 나아가는 한 지점을 완성한다. 더불어 그녀와 그녀의 일본인 의붓여동생 게이꼬가 번갈아 화자로 등장하며 전개되는 <해녀>의 서술방식은 이중, 삼중의 시선에 노출되면서 중층 결정된 재일조선인의 복합적이고 모순된 정체성의 단면을 보여준다.

목차

1. 이양지 문학의 경계성
 2. 학살의 공포와 희생양 의식의 내면화
 3. 비체적 경험과 자기 부정의 논리
 4. '상상의 아버지'를 통한 구원의 모색
 5. <해녀>의 문학적 의미망
 참고문헌
 국문요약
 Abstract

저자정보

  • 윤송아 Yoon, Song-ah. 경희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