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사례관리자의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원문정보

The Affective Factors of Case Managers' Occupational Stress

최영순, 김현리, 성경자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learn the affective factors of case managers' occupational stress. Method: A total of 986 participants responded to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that included 24 items of Korean Occupational Stress Questionnaire Short Form (KOSQSF), job satisfaction index, health behaviors, general characteristics, and variables related to work. The data collection of research was done from 17th to 21th of September, 2007. The data were analysed by t-test,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 11.1 package program. Resul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overall job satisfaction rate of men and women was highly than that of the Korean worker's standar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occupational stress in work place, work department, work position, smoking, treatment in out-patient clinic, subjective & relative health-status, work load, supervisor's review on work-ability, and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multi-variate analysis, occupational stress(47.6%) was related to job satisfaction, workload, individual work-ability, supervisor's review on work-ability, health status and gender. Conclusion: Occupational stress varied depending on the ten variables and was influenced by job satisfaction(35.7%) and 5 other variables. The results suggest that further follow-up study on case managers is necessary to relieve their occupational stress.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사례관리자의 직무스트레스 요인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연구의 참여자는 총 986명으로 자가기입식 설문지를 작성하였고, 설문의 내용은 한국산업안전공단에서 제작한 한국형 직무스트레스 도구와 직무만족도, 건강행태, 직무관련 특성, 일반적 사항들이 포함되었다. 자료수집은 2007년 9월 17일 부터 21일 까지 수행되었고, 통계분석은 SPSS 11.0 프로그램으로 t검정, 분산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본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체 여성과 남성의 직무만족도는 한국 근로자의 평균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스트레스는 근무지, 근무부서, 직위, 흡연, 외래치료, 주관적, 상대적 건강상태, 업무부담, 상사가 인식한 업무능력, 직무만족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다중회귀분석결과에 의하면 직무스트레스는 직무만족, 업무부담, 주관적 업무능력, 상관이 인식한 업무능력, 주관적 건강상태, 성별에 의해 47.6%가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직무스트레스는 열개의 변수들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직무만족도가 35.7% 그리고 다른 5가지 요소들이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또한 연구결과는 사례관리자를 위해서 직무스트레스를 완화시키기 위한 것으로 추후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라는 점을 제시하였다.

목차

I.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 목적
 II. 연구 방법
  1. 연구대상 및 조사방법
  2. 연구 도구
  3. 자료 수집 방법
  4. 자료 분석 방법
 III. 연구 결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대상자의 건강관련 특성
  3. 대상자가 인지한 업무관련 특성
  4. 대상자의 직무스트레스
  5.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IV. 논의
  1. 스트레스 점수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3. 건강관련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수준
  4. 대상자가 인지한 업무관련 특성에 따른 직무 스트레스
  5.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탐색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최영순 Choi, Young Soon. 국민건강보험공단 연구원
  • 김현리 Kim, Hyun Li. 충남대학교 간호대학
  • 성경자 Sung, Kyoung Ja. 충남대학교 대학원 보건학 박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