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崔漢綺氣學と心學

원문정보

최한기기학と심학

야규 마코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한국어

최한기(崔漢綺, 1803~1877)는 19세기 조선에서 동서의 학술을 종합하여 “기학(氣學)”이라고 하는 독창적인 사상체계를 만들어낸 것으로 알려진 실학자이다.
최한기는 “심학(心學)을 전공하는 자는 제규제촉(諸竅諸觸; 감각기관)을 비루하게 여기고 성명(性命)의 이치를 탐욕스레 추구한다.” 라거나 “심학의 사람은 안을 지키고서 밖을 잊고…….”라고 하듯이 심학에 대해 비판적인 의견을 많이 밝히고 있다. 그러나 그의 저술을 자세하게 검토해 보면 그는 오히려 심학에 조예가 깊었던 것을 알 수 있다. 예를 들면 왕양명(王陽明)의 사구교(四句敎) 해석을 둘러싼 소위 “천천증도(天泉證道)”는 중국 양명학파가 분열되는 계기가 된 사건이지만 최한기는 이것에 대해 그 당사자인 왕기(王畿)와 전덕홍(錢德洪) 양자의 설을 조정하는 안을 제시했다. 그는 또 심성의 선악허실(善惡虛實)을 둘러싼 기존의 의논에서는 사람이 태어난 후의 경험이 무시되고 있는데 경험 이전의 인간 본성에 대한 의논은 본질적으로 불가지론이라고 주장했다. 그리고 사람이 양지(良知)를 타고난다고 하는 설은 기질의 편벽됨을 살피지 않는 채 자기 기질에 따라 판단한 것을 “양지”라고 착각할 위험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와 같은 점에서 그는 아프리오리인 천부(天賦)의 앎은 존재하지 않고 사람이 그것으로 여기는 것은 기실 태어난 후의 견문에 의해 얻어지는 것일 따름이라는 생각을 도입한다면 심학에 계발하는 바가 있게 되고, 후세 사람들의 노고도 줄여서 “심학지후(心學之後)” 즉 “포스트 심학”이 일어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런데 최한기가 말하는 “기(氣)”의 개념은 동양의 전통적인 그것과는 매우 이질적인 것이지만 기학의 근간인 “기”, “신기(神氣)”의 기원에 대해서는 종래 그다지 많이 연구되지 않았다. 그러나 사실 이것은 양명학의 “양지”로부터 천지만물을 일체로 삼는 우주의 본체라는 측면과 몸의 주재로서의 측면을 이어받은 한편으로 사람이 타고난 도덕성의 측면을 제거한 것이었다.
최한기는 감각기관으로부터 받은 자극이 영혼에게 전해지고 지각과 판단, 그리고 호오의 감정이 일어난다고 하는 생각을 한역 스콜라철학의 아니마론에서 배웠다. 한편 본질적으로는 순수하고 맑디맑은 질을 가지고 있으나 감각적 경험에 “습염(習染)”되는 것으로 지각과 판단, 호오의 감정을 일으키는 인식의 기반으로서의 사람의 신기는 정제두(鄭齊斗)를 비롯한 조선양명학(朝鮮陽明學; 강화학파)의 사람이 타고난 것으로 선에도 악에도, 요순(堯舜)도 범부(凡夫)도 될 수 있는 가능성을 간직하는 생지리(生之理)로서의 “순기(純氣)”, “정신진기(精神眞氣)”의 사상으로부터 이어받은 것이라고 생각된다.

일본어

崔漢綺(1803~1877)は、19世紀の朝鮮において、東西の学術を綜合して「氣學」という独創的な思想体系を作り上げたことで知られる実学者である。
崔漢綺は「心學を專攻する人は諸竅諸觸を以て卑屑と爲し、性命の理を貪究す」とか「心學の人は内を守りて外を遺し……」などと心学に対し批判的な意見を多く述べている。しかし、彼の著述を仔細に検討してみると、彼はむしろ心学に造詣が深かったことが分かる。たとえば王陽明の四句教の解釈を巡る所謂「天泉証道」は、中国陽明学派が分裂する契機となった事件だが、崔漢綺はこれについて、当事者である王畿と銭徳洪の両者の説を調停する案を提示している。彼はまた、既存の心性の善悪虚実をめぐる議論で人が生まれた後の経験が無視されているため、経験以前の人間本性についての議論は本質的に不可知論であると主張した。また人が生まれながらに良知を有するという説は、気質の偏りを反省しないまま、自己の気質に基づいて判断したことを「良知」と思いなす危険性があると指摘した。
これらの点から彼は、アプリオリな天賦の知は存在せず、人がそれとみなすものは、実は生まれて以後の見聞によってもたらされるものに過ぎないという考え方を導入するならば、心学に啓発するところがあり、後の人々の労苦をも減らして、「心学之後」すなわち「ポスト心学」が興るだろうと主張した。
崔漢綺のいう「氣」の概念は東洋の伝統的なそれとはかなり異質なものであるが、氣學の根幹をなす「氣」「神氣」の起源については従来あまり研究されてこなかった。
だが実は、それは陽明学における「良知」から、天地万物を一体と為す宇宙の本体という面と、一身の主宰という面を受け継ぐ一方で、人が生まれつき持つ道徳性という面を取り除いたものである。
崔漢綺は、感覚器官からうけた刺激が魂に伝わって、知覚と判断、および好悪の感情を生じるという考え方を漢訳スコラ哲学のアニマ論から学んだ。一方、本質的には純粋で澄み切った質を持っているものの、感覚的刺激に「習染」することで知覚や判断、好悪を生じる、認識の基盤としての人の神氣は、鄭斉斗を始めとする朝鮮陽明学(江華学派)の、人が生まれながらに持っている、善にも悪にも、尭舜にも凡夫にもなる可能性を秘めた生の理としての「純気」「精神真気」の思想から受け継がれたものと考えられる。

목차

한글요약문
 一.序論
 二.崔漢綺の「心学」に対する見解
 三. ポスト心学としての氣學
 四.心学の超克
 五. 結論
 日文抄錄

저자정보

  • 야규 마코토 柳生眞. 日本天理大学講師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