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韩国江华阳明学派泰斗郑齐斗良知本体论和致良知功夫论和致良知功夫论

원문정보

A Study on Jeong Je‐du’s Liangzhi and Zhiliangzhi

한국강화양명학파태두정제두량지본체론화치량지공부론화치량지공부론

宣炳三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On this paper, I searched Jeong Je‐du as a Yang Ming scholar, analyzing Xin‐Ji‐Li(The heart is a reason), Liangzhi‐Benti(intuitive knowledge), and Zhi‐Liangzhi‐Gongfu(fulfillment of intuitive knowledge). We found out the fact that his theory is similar to the Yang Ming study of Ming Dynasty concerning on Yang Ming’s core theory, which is Xin‐Ji‐Li(The heart is a reason) , Liangzhi‐Benti(intuitive knowledge), and Zhi‐Liangzhi‐Gongfu(fulfillment of intuitive knowledge).
Being as far as Korean philosophy history be concerned, the position of Zhu Zi ’s Li Study being aware of state as the ideology did not change in Cho Seon dynasty nearly more than five hundred years. During whole Cho Seon dynasty, Yang Ming philosophy already had entered Korea in the early of A.D. 16 centuries, but it took Zhu Zi School’s criticizing, and regarded as erroneous doctrine. Therefore, under the circumstances in which studying other thought was extremely not easy, Jeong Je‐du deeply studied Yang Ming’s study, building his own thought, and became Jiang Hua school’s ancestor.
On this paper I adopted the scheme of Liangzhi‐Benti(intuitive knowledge), and Zhi‐Liangzhi‐Gongfu(fulfillment of intuitive knowledge).
The first, intuitive knowledge: Jeong Je‐du had a regulation that intuitive knowledge is morality judgment, which is to know the justice or evil, and morality emotion which loves the good and hates the evil. It was inherited from Wang Yang‐ming‘s intuitive knowledge. Jeong Je‐du also frequently used the concept of Sheng‐Li when he expresses his own idea about Liangzhi‐Benti(intuitive knowledge).
Second, fulfillment of intuitive knowledge: Jeong Je‐du disagreed with Zhu Zi's Ji‐Wu‐Qiong‐Li. So he relied on fulfillment of intuitive knowledge as a theory of moral accomplishment. But early in the Yang Ming School, it is not easy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fulfillment under the practical circumstance, so it caused Yang Ming School divided in many groups. Concerning to this point, his theory gave a light to reconcile their conflictions among Yang Ming Disciples. Unfortunately, the data supporting this hypothesis is not enough, so it is necessary to wait any research results in the afterwards.

한국어

본 논문은 한국 강화 양명학파의 태두인 정제두의 사상을 양지 본체론과 치양지 공부론의 도식으로 탐구하였다. 정제두는 선악과 시비를 즉각적으로 분별하는 도덕판단, 도덕정감, 도덕의지인 양지를 천리로 규정하였는데 이는 양명의 양지 본체론과 동일하다. 또한 그는 주자가 <대학> 주석에서 주장한 외부세계에 즉하여 이치를 궁구하는 즉물궁리의 공부론을 반대하고 양명이 제창한 치양지가 진정한 공부론이라는 입장을 견지한다. 이 또한 양명의 치양지 공부론과 일치한다. 한편 구체적으로 양지를 ‘치’하는 공부를 두고 양명 후학내에 이견이 존재하는데 사욕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양지의 명각에 의지해야 한다는 주장과 양지의 명각이 제대로 작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사욕을 제거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전자의 입장은 왕기를 대표로 들 수 있고 후자의 입장은 섭표가 대표적이라고 할 수 있다. 정제두는 이에 대해 섭표의 입장에 근접한 “充其实”과 왕기의 입장에 근접한“顺其体”라는 개념으로 조화를 시도하기도 한다. 물론 이런 식의 주장은 단장취의하는 오류의 위험은 있지만 최소한 정제두가 치양지 공부 안에 존재하는 이견에 대해 숙지하고 있었을 것이라는 점은 신빙성이 높다. 현재 학계에서 정제두와 양명 후학과의 관련성에 주목한 논문들이 나오고 있는데 연구자가 정제두 사상과 왕양명 사상의 유사와 차이를 분명히 하고 양명 후학자 개인의 종설에 대한 교판이 정립된 후에야 이른바 ‘단장취의’나 ‘망문생의’ 하는 오류를 피할 수 있을 것이다.
끝으로 본 논문은 작성 동기상 정제두의 양명학 사상을 전반적으로 소개하는 데에 중점을 두었기 때문에 특정 논의를 깊이 있게 전개하지 못한 아쉬움이 있다. 다만 본 논문에서 정제두의 사상 면모를 양지 본체론과 치양지 공부론의 도식으로 탐구한 것은 학계에서 많이 사용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만일 정제두의 사상을 양명학의 한국적 전개라는 큰 밑그림에서 평가하고자 한다면 양명학의 기본 도식인 양지 본체론과 치양지 공부론이라는 렌즈를 통해서 정제두 사상의 특성을 밝혀내는 것이 합당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목차

한글요약문
 一. 引言
 二. 心即理
 三. 良知本体论
 四. 致良知功夫论
 五. 结语
 Abstract

저자정보

  • 宣炳三 선병삼. 北京大学 哲学系 博士生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