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Study on effect on Skin Whitening Action in Taraxacum platycarpum fractions
초록
영어
The study investigated the whitening activity after the demarcation of the respective compartments with the extraction of 80% MeOH extracts,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butanol, and water from the wild Taraxacum platycarpum across our nation. Regarding 80% extracts and fractions of the Taraxacum platycarpum, from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about the impediment effect of the tyrosinase by activity control of DOPA oxidase, it turns out that the arbutin using the positive control made about 37% activity restraint, and the activity of the ethyl acetate fractions from the Taraxacum platycarpum fractions is about 22%, showing the superiority among other fractions although it is weaker than the albutin. From the measure of the survival rate for cells in the ethyl acetate fractions of the Taraxacum platycarpum, it is observed that there is a tiny amount of toxicity by showing the 77% survival rate compared with that of 100% after no treatment in the highest density 10mg/ml regarding the density-based survival rate of cells. To observe the impediment effect in the level of the inside cells, from the results about the impediment effect in melanin biosynthesis inside the cell using B16F1 melanoma cells, the impediment effect in melanin biosynthesis was witnessed as visible with the naked eye through 5 mg/mL in the ethyl acetate fractions of the Taraxacum platycarpum, and also through B16/F1 cell dependent on the density.
한국어
우리나라 전역에서 자생하는 민들레에 대해 80% MeOH 추출물 및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및 물로 추출하여 각각의 획분으로 분획한 후 미백활성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민들레 80%추출물 및 분획물에 대해 DOPA oxidase 활성저해에 의한 tyrosinase 저해효과를 실험한 결과,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알부틴이 약 37% 정도의 억제활성을 나타내었고, 민들레 분획물 중에서는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활성이 22%로서, 알부틴보다는 약하지만 분획물중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민들레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 대한 세포생존율 측정 결과 농도별 세포의 생존율은 최고농도 10mg/ml에서 no treatment로 처리된 100% 생존율에 비해 77% 생존율을 나타내어 약간의 독성이 관찰되었다. 세포내수준에서의 저해효과를 나타내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B16F1 melanoma 세포를 이용하여 세포내 멜라닌 생합성 저해효과 결과 민들레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중 5 mg/mL 에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을 만큼의 멜라닌 생합성 저해효과를 보였고, 농도 의존적으로 B16/F1 cell에 멜라닌 생합성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목차
Ⅰ.서론
Ⅱ.연구방법
1. 시료의 추출 및 분획
2. 실험관 내 Tyrosinase 활성 억제 측정
3. MTT assay
4. B/16 F1 melanoma 세포에서 melanin생성 억제 측정
Ⅲ.결과 및 고찰
1. 시료의 추출
2. 실험관 내 Tyrosinase 활성 억제 효과
3. 세포생존율 측정 결과
Ⅳ.결론
참고문헌
Abstract